[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이 31일 윤석열 대통령의 이동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임명에 대해 “전문성과 경험, 추진력을 갖춘 인물”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여당 간사인 박 의원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인적 네트워크 등의 관점에서 봐도 이명박 정부에서 대변인, 홍보수석, 언론특보를 지냈고 윤석열 정부에서 대외협력특보를 지냈기 때문에 전체적인 관계를 다 잘 아우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현재 국정과제 중 시급한 게 공영방송의 공정성 확보, 그리고 포털 재편의 신뢰성, 문재인 정부의 적폐리스트 조사 등의 문제, 종편 재승인 문제, 각종 방송의 재허가 문제, KBS 수신료 분리 징수 문제 등이 있다”며 “이런 문제를 새로운 사람이 와서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또 공영방송, KBS, MBC, EBS 방만 경영이 도를 넘고 있고 이것이 민노총 노영방송이 장악해서 공영방송의 공정성, 쟁쟁력이 완전히 저하돼 있다. KBS만 하더라도 올해 1분기 400억원 이상 적자가 났고 MBC 16개 지역사가 500억원 이상의 영업 손시를 냈다”며 “이런 것도 커버하고 세계 여러 방송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선진 방송 환경을 조성하는 데 누가 적임자인가 하는 차원에서 검토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동관 후보자는 이명박 정부 당시 언론탄압의 장본인’이라는 야당의 비판에 대해서는 “거기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없고, 이명박 정부에서 했던 조치들보다도 문재인 정부에서 자행된 언론에 대한 것들은 훨씬 심하다”며 “문재인 정부는 정권 장악하자마자 2017년 8월 민주당 워크숍에서 방송장악 문건을 공유한 것이 확인됐고 바로 MBC 김장겸 사장 해임하고 최승호 사장을 올렸다. 그리고 연합뉴스도 조성부 사장을 취임시키고, KBS 고대영 사장 취임 후 바로 양승동 사장을 취임시켰다”고 지적했다.
또 “그리고 법적 근거도 없는 숙청기구를 설립했는데 MBC의 정상화위원회, KBS 진실과 미래위원회, 연합뉴스의 혁신위원회 등 동시다발적으로 다양한 언론인들을 탄압했다”며 “KBS 하나만 하더라도 88명 중 22명이 완전 해직됐고, 66명이 자기 직위와 다른 곳으로 배치돼서 여러 가지 고통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KBS 2TV 폐지 가능성에 대해서는 “세계 각국의 방송은 1공영 다민영 체제인데 우리는 다공영 1민영 체제”라며 “그런 관점에서 우리가 1공영 다민영 체제의 선진국 체제로 가려면 KBS 관련해서도 2TV의 경우 민영화해서 전반적으로 거기에 체제를 맞춰야 한다는 주장이 많다”고 말했다.
또 그는 “우리도 대표 공영방송이 있어야 한다. KBS라든지 EBS는 교육방송이라는 나름의 특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런 정도는 공영의 체제가 당연하지만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신중하게 검토가 있어야 한다”고 거듭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