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보전의 비밀, 장편 ‘소설 해례본을 찾아서’ 출간

이창훈 기자 / issue@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10-09 09:0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소설가 주수자가 10년 동안 집필한 신작 ‘소설 해례본을 찾아서가 출간됐다.

책은 일제로부터 해례본을 지켜낸 국문학자 김태준의 흥미진진한 추적기와 한글이 주인공이 된 가상의 미니 픽션이 어우러져 복합 구성된 장편소설이다. 소설은 역사적 사실과 상상으로 구현된 언어의 이야기가 이중 나선구조로 엮여있다.

‘소설 해례본을 찾아서’는 실존 인물인 국문학자 김태준의 일대기를 담았다. 암흑으로 뒤덮인 처형장에 선 김태준의 모습을 시작으로, 죽음을 눈앞에 둔 그는 해례본을 찾아 나선 여정을 떠올린다. 1940년, 그의 제자인 이용준의 가문에 전해 내려오는 고서가 해례본임을 직감한 그는 안동으로 내려가 보물의 정체를 확인한다. 이후 간송 전형필의 도움을 받아 해례본을 되찾고 난 뒤 사회주의 단체 활동 죄목으로 처형되는 전반의 이야기를 전한다.

실제로 김태준은 해례본 발굴을 비롯해 한국 고전문학사의 기념비적 저작인 ‘조선한문학사’, 조선소설사조선가요집성을 집필해 한국 문학을 연구해 국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또 박지원의 양반전허생전호질이나 김만중의 구운몽을 비롯해 심청전흥부전장화홍련전 등 소설을 발굴해 현대에 전한 업적도 쌓았다.

 

해당 소설은 주인공이 언어로 전환돼 전개되는 구성도 있다. 훈민정음의 발화 외에도 시신(屍身)의 목을 잘라 그 구조를 들여다보고 자음을 만들었던 집현전 학자들과 목이 잘린 광대 이팔삼의 혼잣말, 수양대군이 일으킨 계유정난에 휩싸인 ‘암클’이라 천대받던 언문과 언문 투서 사건, 조선 최초의 성경을 언문으로 번역한 파란 눈의 선교사와 그를 따라 언문 번역에 힘썼던 한 여인의 이야기 등이 곳곳에 배치됐다.


이는 동시에 훈민정음이 목 잘린 광대와 같은 백성들의 힘을 바탕으로 창제되고, 창제된 후에는 암클이라 불렸으나 끈질기게 쓰이고, 이후 어떤 문자보다 널리 오랫동안 성경의 복음을 전하게 되는 등 ‘살아 있는 글’이 되는 과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며 한글의 의미를, 보편성을, 확장성을, 민족성을 다시 돌아보게 한다.

소설가 주수자는 서울대 미대 졸업 후 프랑스와 스위스, 미국에서 살다가 귀국해 2001년 등단했다, 소설집 버펄로 폭설, 시집 나비의 등에 업혀 등을 펴냈다. 희곡 빗소리 몽환도복제인간 1001 등을 연극 무대에 올렸고, 소설집 빗소리 몽환도 Night Picture of Rain Sound는 영국과 몽골에서 번역 출간됐다.


책을 펴낸 도서출판 달아실 관계자는 “훈민정음과 훈민정음 해례본의 역사성과 가치를 새롭게 부각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라며 “무엇보다 잠들어 있던 국문학자 김태준을 세상 밖으로 밀어 올린, 유일한 소설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