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는 오는 12월31일까지 침수피해 인정 4821가구를 대상으로 재난약자와 저소득가구 등을 발굴한 뒤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실시한다는 게 구의 설명이다.
이에 구는 가정방문, 유선조사 등을 통해 복지 및 안전에 대한 주민들의 욕구를 파악한 뒤 일반가구, 복지욕구가구, 고독사 위험가구와 우울 고위험가구로 구분해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무엇보다 65세 이상 노인과 중증 장애인, 희귀난치성 질환자 등 고위험가구에는 상시 돌봄과 더불어 다가올 겨울철 한파를 대비해 난방 용품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우울도가 높은 대상의 경우에는 이를 전문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도록 사전 동의를 통해 구 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계한다.
구는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지원 및 연계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사후·사례 관리를 통해 주거취약으로 인한 복지사각지대, 재난피해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박준희 구청장은 “촘촘한 복지안전망을 통해 침수, 한파와 같은 재난상황에 취약계층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라며 “앞으로도 주민들의 삶을 세심히 살피는 행정으로 다함께 잘 사는 포용도시 관악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구는 오는 11월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공동으로 주관하는 '복지사각계층 발굴·지원 강화 토론회'를 개최해 민관협치를 통한 관악형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온 힘을 쏟을 방침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