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가 친명계 일색 인적 구성에 이어 '불체포특권 포기'를 첫 의제로 들고 나오면서 그동안 '이재명 체제 1년 평가’를 혁신위 우선 의제로 요구해왔던 비명계와의 갈등이 불가피한 모습이다.
특히 김은경 혁신위원장이 첫 회의 당시 “정당 공천 과정에서 현역 의원으로 대표되는 기득권 체계를 혁파하겠다”고 언급한 발언을 두고도 “비명계를 겨냥한 총선 물갈이를 의도한 발언"이라는 반발이 쏟아지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25일 ”혁신위 선공에 허를 찔린 비명계가 부글거리고 있다"며 ”향후 혁신위 활동을 둘러싼 계파 갈등은 한층 복잡한 양상을 띨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당내에선 혁신위가 전날 발표한 '불체포특권 포기·체포동의안 가결 당론 채택' 쇄신안에 대한 파장이 계속되는 양상이다.
혁신위는 출범 후 첫 쇄신안으로 당 소속 전 의원들에게 불체포특권 포기를 서약하고, 향후 체포동의안이 제출될 경우 가결을 당론 채택하자고 제안했다.
윤형중 혁신위 대변인은 이날 혁신위의 2차 회의 이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 국회의원 전원이 불특권체포를 포기하는 서약서를 제출하고 향후 국회의원 전원의 불체포특권 포기 서약을 당론으로 채택할 것을 당에 요구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불체포 특권은 의원에게 보장된 헌법적 권리지만 민주당이 선제적으로 내려놓고, 체포와 구속 심사에 대한 사법부의 판단을 신뢰하되 문제가 발생하면 당내 조사를 통해 억울한 분이 없게 법률 지원을 하는 방식으로 당내 절차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회의에서는 비명계가 요구했던 '이재명 체제 1년 평가'는 다뤄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윤 대변인은 "불체포 특권에 대한 격론이 오가며 많은 시간을 그 논의에 할애해 여러 안건에 대한 논의는 다음 차례로 미루겠다"고 밝혔지만 비명계 의원들은 "혁신위가 이 대표 체제 평가를 선제적으로 다루지 않는다면 당 혁신 논의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원욱 의원은 라디오에서 "이 대표 체제 1년이 지났는데 당 지지도가 오르기는커녕 도덕적 불감증에 걸렸다는 뼈아픈 지적이 있다"며 "이 평가가 혁신위에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김은경 혁신위원장이 첫 회의 때 “정당 공천 과정에서 현역 의원으로 대표되는 기득권 체계를 혁파하겠다”고 언급해 촉발된 내년 총선 ‘공천룰’을 둘러싼 갈등도 녹록치 않다.
이를 두고 비명(비이재명)계가 “비명계를 겨냥한 총선 물갈이를 의도한 것 아니냐”며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비명계 조응천 의원은 지난 22일 MBC 라디오에서 “(김 위원장이) 느닷없이 공천을 얘기하고 현역 의원을 기득권이라고 한다. 기득권 타파, (친명 강성 지지층이 요구하는) 대의원제 폐지 이런 쪽으로 연결이 되는 것”이라며 “혁신위의 본령은 이재명 체제의 민주당 1년을 평가하는 건데, 이게(혁신위가) 제대로 굴러가겠느냐”고 반발했다.
그러면서 ‘이미 각본이 짜였다고 보느냐’는 진행자 질문에 “강한 의심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혁신위가 이 대표 체제를 공고히 하는 쪽으로 혁신의 방향을 잡은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왔다.
‘친명 혁신위’의 ‘차도살인’(남의 칼로 적을 제거)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