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도 헌법 정신, 불참 이해하기 어려워”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6.10 민주항쟁 36주년 기념식에 정부ㆍ여당이 불참한 것에 대해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이 12일 “심각한 오판”이라고 비판했다.
기념식에 참석했던 하 의원은 이날 오전 b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5.18 헌법 정신이라고 했는데 6.10도 헌법 정신이다. 당연히 참석해야 하는데 정부가 불참한 건 이해하기 어렵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후원한 건 추모제고 추모제를 주최하는 단체가 정권 퇴진 구호를 내걸었다. 정권 퇴진 구호를 내건 행사를 민주화기념사업회가 후원한 게 아니다”라며 “그래서 정부가 그런(불참) 결정을 내린 걸 제가 지나치다고 얘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6.10 행사는 정부가 주최하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그냥 실무적으로 대행을 한다”며 “정부가 주최하는 행사에 정부가 빠진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았으면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5.18 행사에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참여했는데 6.10 행사에 정부가 불참해서 그 의미가 가 좀 퇴색된 것 아닌가 하는 걱정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여야 정치권도 이 문제를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이날 기념식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6.10 항쟁이 없었다면 윤석열 대통령도, 오늘의 정권도 없었다”며 “극히 사소한 이유를 핑계로 공식적 정부 행사를 비토한다는 게 과연 있을 수 있는 일인가. 정부의 옹졸함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맹비난했다.
박광온 원내대표도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이한열 기념관 방문을 마친 뒤 "해당 행사를 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가 했다는 이유로(불참했는데) 그건 그것대로 바로잡아 나가면 될 일이고, 6.10 항쟁 기념식은 기념식대로 의미가 있으니 참석을 하는 게 옳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반면 국민의힘 강민국 수석대변인은 “정당 민주주의가 돈으로 인해 오염되고 대화와 타협의 의회 민주주의가 다수의 폭거와 독주로 인해 파괴되고 있다”고 질타했다.
강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최근 6.10 민주항쟁의 뜻을 이어받는 단체가 그 본래의 취지와는 다르게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정치적 공격을 일삼는 시민단체에 후원하는 일도 발생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민의힘은 집권여당으로서 더 큰 책임감으로 ‘민주’라는 숭고한 단어가 더는 사리사욕에 이용되거나 방종과 폭주의 명분이 되지 않도록 가치를 지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