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정부가 증상 발생 20일이 지난 코로나19 중환자를 격리해제하는 조치와 관련해 "치료를 중단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27일 백브리핑에서 "격리해제된 중환자를 일반 중환자실이나 일반 병실로 옮기는 조치를 해도 치료는 계속된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지난 20일 42개 의료기관의 코로나19 중증병상 장기 재원자 210명에게 격리병상에서 일반병상 등으로 전원(병원이동)·전실(병실이동)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 코로나19 중환자를 방치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반 중환자 병상 감소 문제가 심각하고, 의료현장 혼란이 가중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손 반장은 "코로나19 중환자실은 격리 병실이니 인력이 2배 정도 더 소요돼서 의료자원 소모가 심하다"며 "일반 중환자실로 옮겨서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게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손 반장은 격리해제 기준인 '증상 발생 후 20일'이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이라고 설명하며 "(20일이 지나) 감염력이 소실된 환자를 계속 코로나19 중환자실에서 치료받으면 의료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쓰게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혼란의 근본적 원인은 격리와 치료를 동일시한다는 것"이라며 "격리를 해제하는 것이 치료를 중단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무증상·경증 환자는 격리 기간과 치료 기간이 거의 비슷해서 문제가 없는데, 기저질환자는 20일 정도면 감염력이 떨어져 격리해제가 가능해도 여전히 치료할 부분이 남아있다"며 격리해제 후에도 치료를 계속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반장은 "다만 일반 중환자실로 옮길 때 병상이 없는 경우에는 격리실에 남아서 치료를 진행한다"며 "그런 부분이 해결될 수 있도록 병상을 계속 늘리고 있다"고 전했다.
행정명령을 받은 210명 중 22명은 중환자실에서 사망했다는 통계를 놓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데 대해 손 반장은 "전원한 다음에 또는 전환하다가 사망하신 게 아니라 전담병상 중환자실에서 계속 치료를 받다가 사망하신 분들"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