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획 발동 기준에 도달
방역지표 등 지침 내일 발표
[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높아짐에 따라 위중증 환자 관리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4일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 서울의 중증 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은 76.2%로, 현재 345개의 확보 병상 중 263개가 사용되고 있다.
인천도 중증 병상 가동률이 76%에 육박했다. 인천시에 따르면, 이날 중증 환자 전담 치료 병상은 전체 79개 중 60개가 사용돼 75.9%의 가동률을 기록했다.
이렇듯 서울과 인천 모두 가동률 '75%'를 넘어섰다는 점이 주목된다.
지난 1일부터 단계적 일상회복 조치를 시행한 정부는 상황이 악화할 경우 일상회복 추진을 잠시 중단하는 비상계획(서킷 브레이커)을 발동한다고 밝혔는데, 이 기준중 하나는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75% 이상'이다.
비상계획과 방역지표 등 세부 지침은 오는 16일 발표될 예정이다.
경기 지역 중증 환자 병상은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263개중 189개가 사용돼 71.9%의 가동률을 기록했다.
전국(수도권 포함) 중증 병상 가동률은 59.6%(10125병상중 671병상)로 60%에 조금 못미치는 수준이다.
이날 지역발생 신규 확진자 2천401명 6%가 수도권(서울 969명·경기 797명·인천 155명)에서 나오는 등 최근 코로나19 유행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해 수도권에만 비상계획을 발동할 가능성도 제기됐지만,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지난 11일 브리핑에서 “비상계획을 부분적으로 시행할 생각은 없다”고 일축한 바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