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한전에 따르면 이는 전력판매량 증가 등으로 매출액은 1조 3729억원이 증가한 반면, 연료비 및 전력구입비 증가 등으로 영업비용이 9조 7254억원 증가했기 때문이다.
전년동기 대비 주요 증감요인을 살펴보면, 전기판매수익은 제조업 평균가동률 증가(74.1→78.4%) 등으로 판매량이 4.5% 증가하여 전기판매수익이 1조 848억원 증가했다.
반면, 자회사 연료비는 3조 6824억원 증가했고, 민간발전사 전력구입비는 5조 5838억원 증가했다.
이는 LNG, 석탄 등 연료가격이 크게 상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력수요 증가로 발전량이 증가하고, RPS 의무이행비율이 상향(9→12.5%)된 결과라는 게 한전의 설명이다.
한전과 전력그룹사는 글로벌 연료가격 급등으로 인한 재무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비상대책 위원회'를 모든 전력그룹사가 참여하는 형태로 확대 구성하고 고강도 대책을 함께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보유 중인 출자 지분 중 공공성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지분을 제외하고 매각을 추진한다. 보유 부동산은 매각 가능한 모든 부동산을 매각한다는 원칙하에 제로베이스에서 매각대상을 발굴할 계획이다.
또한 운영·건설 중인 모든 해외 석탄발전소의 매각 원칙 정립을 포함한 해외사업 재편 및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아울러 전력공급 및 안전경영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투자사업의 시기 조정 및 강도 높은 비용 절감을 추진한다.
이외에도 발전자회사는 연료비를 포함한 전력 생산원가 절감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전은 "경영전반에 걸친 효율 향상을 위한 과감한 혁신을 단행하고, 그 성과가 전기요금 부담 완화 등 국민 편익 증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며, "또한 연료비 등 원가변동분이 전기요금에 합리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정부와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