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조만간 이동관 현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보를 차기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를 지명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일 “MB(이명박) 정권 시절 이 특보가 국정원을 동원해 언론인의 사상을 검열하고 인사에 부당 개입한 것 아니냐는 정황이 드러났다”며 “이 특보 임명 강행은 국민에 대한 선전포고”라고 날을 세우고 나서 주목된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시 청와대 요구에 따라 만든 국정원 문건을 토대로 KBS 간부들이 교체됐다고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는 “언론인 블랙리스트를 작성하고 정권 입맛에 맞지 않는 방송을 탄압하는 데 정보기관을 이용한 것”이라며 “그때는 가능했을지 몰라도 두 번 다시 용인할 수 없는 언론판 국정농단”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서울대 60대 남성, 소위 ‘서육남’으로 시작해 34일만에 물러난 교육부총리, 시대착오적이고 반노동적인 인식을 가진 경사노위원장, 전직 대통령이 간첩이라고 하는 경찰제도발전위원장까지 윤 대통령의 오기 인사는 이제 멈춰야 한다”며 “언론 장악에 들이는 노력의 반의 반이라도 붕괴되어가는 민생경제에 쏟아주길 다시 한 번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언론인들이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에 대해 부정적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와 이목을 끌었다.
한국기자협회가 지난 16~19일 전체 회원 1만1122명 중 문자 발송이 가능한 1만1069명 대상으로 '이 특보 임명'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묻자 80.0%(1473명)가 ‘반대' 입장을, 7.1%가 ‘찬성' 의견을 밝혔다.
반대한 이유로는 80.3%가 ‘MB정부서 언론탄압 앞장 선 인물’이라고 응답했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한 이 특보 아들의 학교 폭력·은폐 의혹도 부정적 기류에 힘을 실었다는 지적이다.
지난 2015년 서울시의회 '하나고 특혜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 관련 기록에 따르면 같은 해 8월 26일 서울시의회는 '이명박 정부 청와대 고위인사 아들이 학폭 사건을 일으켰지만 학교폭력자치위원회(학폭위)도 열지 않고 가해 학생을 전학시켰다'는 내용의 하나고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위해 증인·참고인을 소환해 질의응답을 실시한 바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