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38% '60~70대'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가 4년 연속 감소하고, 고령화의 심화로 평균 연령이 44.8세로 올라갔다.
행정안전부는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2023년 12월31일 기준)를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통계연보에는 행정 안전 분야의 정책 수립·집행 및 학술연구 등에 필요한 주요 통계가 종합적으로 수록됐다.
구체적으로 정부 조직·행정관리·디지털정부·지방행정·지방재정·안전 정책·재난관리 등 8개 분야의 총 328개 통계가 실렸다.
올해는 지자체 폐쇄회로(CC)TV 통합관제센터, 고향사랑기부제,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통계도 추가됐다는 게 행안부의 설명이다.
먼저 총 주민등록인구는 감소 추세지만, 1인 세대 증가 등의 영향으로 세대 수는 계속 증가했다.
지난 2023년 주민등록인구는 5132만5329명으로 2022년(5143만9038명)보다 0.22%(11만3709명)가 줄었다.
주민등록인구는 2020년 5183만명에서 4년 연속 감소했고, 고령화 심화로 평균연령은 전년(44.2세)보다 0.6세가 많은 44.8세가 됐다.
남녀 평균 연령은 남성 43.7세, 여성 45.9세로 여성이 2.2세 더 높았다.
가장 인구가 많은 연령은 52세(1971년생·92만8584명)였다. 주민등록세대는 2391만 4851세대로, 전년(2370만 5814세대) 대비 0.88%가 증가했다.
아울러 전체 세대 중 1인 세대가 993만5600세대로 41.5%를 차지했다.
세대원 수별로 살펴보면 1인·2인 세대 합계 비중은 2022년 말 65.2%에서 2023년 말 66.1%로 0.9%포인트가 증가했다. 반면에 3인 세대 이상 합계 비중은 2022년 말 34.7%에서 2023년말 33.9%로 감소했다.
1인 세대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 이상 19.7%(195만 2911세대), 60대 18.4%(183만 2132세대), 30대 16.9%(167만 6332세대) 순이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