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정기모임은 짧은 기간이었지만 많은 성과를 남겼는데 그동안 묻혀있었던 일제잔재청산과 민족정기회복을 우리 사회의 주요한 관심사로 끌어냈다는 점을 우선 꼽을 수 있겠다. 국회에서는 일제의 강제동원문제를 다루는 입법안이 상정되었고, 민간에서는 친일파인명사전 편찬이 시작되었다. 일제 때의 관보와 자료를 뒤져서 친일반민족행위자의 명단과 죄상을 정리하여 민족정기모임을 통해 국회에서 발표함으로써 역사적 일제잔재청산의 계기로 삼자는 제안도 있으며 실제로 명단 및 죄상 정리작업이 현재 상당히 진척되어 있다.
또한 민족정기모임은 일본역사왜곡사태를 맞아 국회가 우리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해냈다. 다섯 차례가 넘는 성명발표에 이어, 일제의 반인류적 전쟁만행과 역사왜곡을 CD롬에 담아 외신기자들과 각국 외교관들에게 보냄으로써 국제사회를 통해 일본에 압박을 가했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은 실질적인 성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壬午年에는 500원 주화에 독립지사의 초상을 새겨넣는 일부터 시작할 것이다. 우리가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현재 독립지사의 얼굴은 우리 화폐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김구선생, 안중근의사, 유관순열사 등의 초상을 담아 후손들에게 독립정신을 일깨우고 민족정기를 심어줄 수 있는 화폐를 꼭 만들어 낼 것이다.
친일반민족행위에 대한 역사적인 청산에도 힘을 모을 계획이다. 민간단체가 추진중인 친일파청산사업이 국가적인 지원사업이 되도록 입법활동에 나서 사실상 국가적인 일제잔재청산이 시작되도록 해나가는 일도 우리 과제다. 또 친일반민족행위자를 국회 본회의장 발언형식을 빌어 발표함으로써 공식 역사기록이라 할 수 있는 의사록에 남김으로써 친일반민족행위와 일제잔재의 청산을 공론화하는 계기를 마련할 생각이다.
작년에 제출한 지방세법개정안은 市稅인 담배소비세와 區稅인 종합토지세간 세목 교환을 통해 자치구간 재정격차를 완화하고, 전반적으로 자치구에 연간 100억원 가량의 세수증대를 꾀해 재정능력을 크게 확충하자는 취지에서다. 이 법안은 민주당의 당론으로 받아들여졌고 현재 상임위에서 논의 중에 있다. 올해에도 이러한 불합리한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발전을 지향하는 입법활동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우리 사회의 숙제중의 하나는 여성소외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여성들이 정치에서, 그리고 정보화에서 소외되어 있는 것은 큰 문제다. 이러한 소외가 지속될 경우 여성들이 사회의 주역으로 설 기회가 상실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의 정치진출 확대, 그리고 정보화 강화를 위한 활동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