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임시회의 소집방식은 의회의 건전한 기능을 방해하는 것으로 이의제기를 하지않을 수 없습니다. 의회는 삼명하달식으로 운영되는 곳이 아닙니다. 그리고 상임위제도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추모공원부지의 그린벨트해제에 대한 의견청취의 건 하나를 처리하기 위해 예정에 없던 1월 임시회가 갑자스럽게 소집되어야한다면 집행부는 도시관리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먼저 머리를 맞대고 그 필요성을 개진하셨어야 합니다. 그 필요성을 인정한 상임위가 의장단에게 회의소집을 요청하여 소집되었다면 다른 위원회 소속의원들에게 도시관리위들이 그 필요성에 대해 설득작업을 하였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과정이 아니 믿기시면 지난 연말에 있었던 평창동 원형택지에 대한 안건 처리과정을 상기하시기 바랍니다.
추모공원은 빨리 짓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생각합니다. 추모공원이 서초구에 들어가는 것은 역사를 바꾸는 정도의 중요한 일(온갖 혜택만 받아온 강남에 혐오시설이 들어간다는 의미에서)로서 대다수 서울시민들이 옳은 정책 결정이었다는 판단을 하도록 하는 것이 우리나라 사회발전에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온 나라가 게이트 추문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요즈음, 극히 소수만이 청렴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특히 많이 듭니다. 시민의 건전한 여론이 작동하는 서울을 만들지 않고서 앞으로 행정이 하는 일은 사사건건 극단적 반대에 부딪히며 소모전을 계속할 것입니다.
인식과 태도는 실천 속에서 변합니다. 자꾸 토론할 기회를 많이 주고 그 지위가 높던 낮던 지도자들이 건전한 토론을 이끌어야 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소관 팀장은 도시관리전문위원실이 사전 간담회의 필요성을 제기했음에도 묵살하였습니다.
소관 과장은 정회시 간담회 자리에서 현직을 물러나겠으니 통과만 시켜달라는 식의 막가는 발언을 서슴지 않았습니다.
소관 국장은 이 건에 대해 상임위가 그동안 우호적이어서 별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았다는 것입니다.
이 분들의 행태는 지난 임기동안 환경수자원위원회의 소관 국실의 행정직 공무원님들과 너무도 달라서 적응이 되지를 않습니다. 그 때는 약간만 내용이 복잡한 조례안이 상정되면 꼭 자료를 보내오거나 간담회를 요청하였었습니다.
저는 지방의회가 우리 정치를 개혁하는 훈련장이 되어야한다고 봅니다. 우리의 기회를 앗아가고, 의장이 무리한 일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열어준 이 번 안건 상정방식에 대해 시장님의 견해를 듣고 싶습니다.
의회를 소집시키기 위해서 의장과 공무원들이 한 행위는 지탄받아 마땅합니다. 그리고 명백히 집행부 쪽에서 잘못했습니다. 선처를 기다리겠습니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