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공무원직장협의회(회장 김병직)는 “지방선거에서의 불-탈법 사례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하위직 공무원들이 부정선거 감시에 나서고 있다”며 “이미 전국공무원직장협의회총연합(전공련) 차원에서 부정선거 감시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실제로 경기도청 공무원직장협의회(경공직협)등 도내 공무원직장협의회연합(경기련)은 지난 7일 도 공직협 사무실에서 ‘공무원 부정선거감시단 발대식’을 갖고 감시활동에 들어갔다.
부정선거 감시단은 공무원들이 ▲후보(예정)자에게 관련 정보 제공 ▲후보자 사무실 출입 ▲후보자 지지발언 등과 함께 출마 예상자의 탈·불법 사례를 집중 감시할 계획이다. 감시단은 적발된 불법 행위를 선관위와 검찰, 경찰에 통보 또는 고발 조치할 계획이다.
전북도 공무원직장협의회(회장 이정천)도 21일 “각종 선거의 불·탈법 사례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부정 선거감시단’을 구성, 26일부터 운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공직협은 “그동안 공무원 일부가 선거 때가 되면 정치권에 빌붙어 그들을 위해 일하는 사례 때문에 공직자들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상실했었다”며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을 확보하기 위해 감시단을 만들기로 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부산지역 28개 공무원직장협의회 모임인 부산공무원연합(부공련·의장 이용한)도 2월1일부터 지방선거 때까지 단체장들의 불법 사전선거운동 사례를 모아 실명을 공개키로 결정한 바 있다.
자치단체 내부 사정에 밝은 하위직 공무원들이 자체적으로 선거감시에 나설 경우 공무원 줄서기 등을 사전에 차단해 선거와 관련, 공직사회 풍토를 정화하는 데 한 몫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영란기자 joy@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