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측 위원장에 정치학자가 내정되고 일본측 위원들 역시 대부분 우익 인사가 내정된 것으로 알려져 학계에서는
양국간 공동 역사연구가 무산될 것까지 우려하고 있다.
시민단체와 역사학계가 공동으로 구성한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는 공동연구위 한국측 위원장에 이달 초 김영작(61) 국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내정됐다는 데 대해 4일 성명을 통해 비판하고 나섰다.
운동본부는 성명서에서 “김 교수의 위원장 내정은 정부의 일방적인 낙하산식 임명”이라며 “5공화국 시절 민정당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국회의원을 지낸 김 교수를 내정한 것은 정부가 교과서 왜곡 문제를 외교관계를 고려해 적당히 타협하려는 의도가 아니냐”고 주장했다.
공동연구위는 지난해 4월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파문을 가라앉히기 위해 같은 해 10월 한일 정상이 설치를 합의한 것으로 국내에서는 3월에 구성됐다.
공동연구위는 2년 시한(연장 가능)으로 두 달에 한번씩 회의를 열어 양국의 쟁점사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현재 공동연구위 국내 연구위원으로 내정된 학자는 조동걸 최병헌 정옥자 김장권(이상 서울대) 이만열(이화여대) 강창일(배제대) 김태식(홍익대) 정재정(서울시립대) 김현구(고려대) 노중국(계명대) 교수 등 10명으로 정치사 전공인 김장권 서울대 국제지역원 교수를 제외하면 모두 역사학자이다.
이에 따라 양국 위원장과 고대사, 중세사, 근현대사 등 3개 분과 위원 20명이 참여한 가운데 25일 열릴 공동연구위 첫 회의에 앞서 한국측 위원회의 성격과 활동방향을 놓고 상당한 내부 진통이 예상된다.
역사학계에서는 일본측의 위원 인선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현재 일본은 미타니 타이이치로(三谷太一 郞) 대 명예교수를 위원장으로, 기타오카 신이치(北岡伸一) 도쿄대 교수, 하라다 다마키(原田環) 히로시마여대 교수, 오코노기 마사오(小此木政夫) 게이오대 교수 등 위원 10명을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