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시화호 상류에 인공습지를 조성해놓고 관리인력을 전혀 배치하지 않는 등 관리가 엉망이기 때문이다.
수자원공사는 지난달 15일 반월.삼화.동하천 합류지역 공유수면 103만7천㎡에 모두 270억원을 들여 하수정화와 자연학습장 기능을 갖춘 인공습지를 개장하고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
수자원공사는 그러나 국내 최초로 인공습지를 조성해놓고도 이를 관리할 전문인력을 단 한명도 배치하지 않고 고작 공익근무요원 2명과 건설회사 관리인 1명 등 모두 3명을 투입하고 있다.
이들은 조수포획을 감시하고 시화호 역사관과 자연생태관 등이 들어선 전망대 건물(지상 2층)을 관리하는 등 공원관리인 역할을 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로 인해 반월천과 동하천의 하수를 습지로 보내기 위한 수문 조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고(高)습지 바닥이 말라붙는 등 하수정화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또 습지에서 모기 유충과 모기떼가 다량 발생지역에 피해를 입힐 우려가 높은 데도 방역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수수방관하고 있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다음달까지 관리인력을 확보해 인공습지가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연합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