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변동금리인 5.9%를 적용받아 5월부터 은행에 상환한 금액은 총 20만원.
지난 8월부터는 금리가 0.2% 정도 상승해 상환액이 2만원 가까이 올랐다. 김씨는 내집을 마련했다는 자부심은 크지만 적은 월수입으로 20만원이 넘는 상환액도 부담스러운데 금리까지 인상된다면 감당하기가 더욱 힘들어질 것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지난달 26일 한국은행이 주최한 세미나에서 부동산 가격 상승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관심을 모았다. 이 세미나에서 모 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주택가격 급등의 영향과 대책’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주택가격 급등을 막기 위한 단기 대책으로 금리를 소폭 인상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다른 부동산 전문가들도 부동산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없다. 금리가 낮아 금융상품보다는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이 더 큰 메리트가 있어 시중자금이 부동산에 몰린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그러나 국민은행의 지난달 말 현재 가계대출 잔액 가운데 시장금리 연동 대출비중은 39.6%이며 우리은행은 64.9%, 신한은행은 64.2%, 한미은행은 72.9%, 외환은행은 72.0% 등을 보이고 있어 가계대출의 상당 부분이 금리인상 시 ‘직격탄’을 맞게 될 건 뻔한 사실이다. 연 6.4%의 금리로 3년 만기에 5000만원을 대출받았을 경우 1%포인트 인상으로 월 4만1000원의 이자를 추가로 내야 한다.
금리를 인상하면 충분한 자금을 갖고 있지 않은 서민들은 급격한 수입감소나 자산가격 하락 때는 신용위기로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 때문에 금리를 인상하기 위해서는 좀더 신중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