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공무원노동조합(이하 공무원 노조) 김창진(44·사진) 동작지부장은 정부가 공무원노조에 단체 행동권을 허용하지 않고 ‘공무원 조합’이라는 명칭을 쓰게 하는 것은 노조의 힘을 약화시키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그는 “공무원노동조합을 만들어 노동법의 적용을 받아야할 노조가 공무원조합이라는 명칭으로 행자부에 귀속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정부입법안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공무원 조합으로 어떻게 노동3권을 요구하는 투쟁을 할 수 있겠냐”고 말하는 그는 “직장협의회 수준밖에 되지 않는 공무원조합법을 철회하고 공무원 노동자들에게 진정한 노동3권이 보장돼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공무원 노조 지도부가 삭발까지 하며 정부입법안에 대해 반대 집회를 하고있는 상황에서도 정부는 무 응답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정부의 무성의하고 무책임한 자세에 분노를 느낀다”고 토로했다.
“지부장 결의 대회 때 책임 있는 정부인사가 대화에 응하지 않았다”며 불만을 나타낸 김 지부장은 “행정자치부 사무관과 어떤 협의를 할 수 있겠느냐”며 답답한 심정을 드러냈다.
그는 경찰 책임자의 공개사과와 17일 연행된 공무원들을 전원 석방하라고 요구했다.
“이렇게 편하게 사무실에 않아 있는 것보다 차라리 경찰서 유치장에 갇히고 싶은 심정”이라는 그는 “17일 연행된 동료들에 대해 미안함과 함께 부끄러운 마음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은 건전한 비판세력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며 “정부가 공무원들의 평화집회에 무차별 연행으로 탄압을 자행하는 상황에서도 언론은 눈치보기에 급급하다”고 말했다.
김 지부장은 “자치단체 집행부는 이런 종류의 언론에 더 이상의 예산을 낭비하지 마라"고 촉구했다.
/서정익기자 ik11@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