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한 축제에서부터 잘 들어보지 못한 생소한 축제에 이르기까지 현재 우리나라에는 1,000여개에 이르는 지역 축제가 있다. 90년대이래 전국의 여러 지역에서 생겨난 축제는 문화적 매개를 통한 각 지역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대 심리와 일반 대중과 지역민들의 문화적 욕구의 증대로 인해 엄청난 양적 팽창을 가져왔다.
각 지역의 전통문화와 지역 고유의 문화적 소재 등을 매개로 축제가 개최되지만 대부분이 지역과 주민들의 일상적 삶 속에 충분히 스며들고 있지 못하고 지역축제를 지자체 공무원이 중심이 되어 진행하는 과정에서 아래로부터의 지역민들의 실질적인 참여가 봉쇄되는 역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축제 소재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축제의 모습이 어디나 유사하게 느껴질 정도로 지역축제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상실하고 있다.
전통문화적 아이템을 단순히 이벤트화 하거나 볼거리 차원의 소재로 격하시키고 축제의 기획취지 및 구체적인 추진계획이 선명하게 드러나 있지 못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흐름과는 별다른 연관성을 갖지 못한 프로그램 등은 지역축제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지역경제활성화와 축제의 관광상품화 논리는 지역문화의 정체성과 문화적 가치, 축제가 갖는 의미가 전제하지 않은 상황에서 허울에 불과하다.
관광상품화, 관광객 유치, 지역의 전통이미지 제고 등 단기적으로 가시화 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한 외재적인 접근보다는 지역문화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정립하고 전통문화의 숨결을 지역민들 스스로가 느낄 수 있는 방향으로 한 내재적인 접근이 우선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