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중앙인사위원회와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기술직 공무원의 비율을 내년부터 중앙 행정기관의 경우 25% 이상, 지자체는 40% 이상으로 늘린다는 방침을 세우고 세부적인 충원계획을 수립중이다.
중앙인사위 관계자는 “현재 기술직 공무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중앙행정기관 24.7%, 지방자치단체는 39.2%”라며 “청소년들의 이공계 기피현상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전공자들의 사회적 역할 제고 및 정부 차원의 과학기술인력 육성·지원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인사위와 행자부는 정보기술(IT),생명기술(BT) 등 첨단 과학기술 분야 공직의 직군·직렬을 개편하는 한편,기술직 공무원의 정책관리 및 첨단 기술능력 함양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과학기술공무원 육성·지원대책’을 마련해 과학기술부 등 유관기관과 협의중이다.
현재 52개 중앙행정기관 중에서 기술직이 50%가 넘는 부처는 건설교통부(68.3%),환경부(63.8%) 등 12곳,30∼50%인 기관은 과학기술부(48.8%) 등 5곳에 불과하다.
계급별 기술직 공무원의 점유비율은 1급 9.7%, 2급 18.2%, 3급 24.0%, 6급 이하 23.7%로 상위직으로 갈수록 낮다. 이는 기술직 공무원이 임명돼야 하는 일 부 기술직 단수직위는 물론 행정·기술직 복수직위 가운데 다수를 행정직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 연합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