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여성의 공직선호도가 높아진데다 국제통화기금(IMF)사태이후 본격화된 취업한파와 여성우대 정책 등에 힘입은 것으로 앞으로 여성 고위공직자 활용 및 능력개발 방안 마련이 미룰 수 없는 과제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8일 행정자치부가 내놓은 ‘1990∼2002년 각종고시 연도별 여성합격자 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특히 금녀의 벽이 높았던 외무고시의 경우 최근 12년사이 가장 큰 폭으로 여성비율이 높아졌다.
외시는 90년 최종합격자 35명 중 여성이 없었고 91년 49명 중 1명(2%), 92년 30명중 3명(10%), 93년 30명중 1명(3.3%)에 머물렀으나 94년 8.6%, 96년 9.8%, 97년 20%, 99년 30%, 2001년 36.7%에 이어 올해는 45.7%까지 높아졌다.
행정고시는 90년 최종합격자 173명 중 여성은 3명으로 1.7%였으나 12년이 지난 2002년에는 최종합격자 257명중 73명으로 28.4% 까지 높아졌다.
7·9급 공채도 여성비율이 꾸준히 늘었으며 특히 여성채용목표제가 시작된 96년과 7·9급 공채에서 군가산점제가 폐지된 2000년부터 여성비율 증가가 뚜렷했다.
90년 7급공채에서 여성합격자는 7.1%였으나 처음으로 여성채용목표제가 적용된 96년은 8.2%였고 군가산점제가 폐지된 2000년에는 16.6% 로 늘어난데 이어 올해는 2차합격자중 여성비율이 사상 최고인 25.2%였다.
9급공채도 90년 29.8%에서 2001년 38.2%까지 올랐고 올해는 합격자 2915명중 1416명이 여성으로 무려 48.6%에 달했다.
행자부는 특히 하위직의 일부직렬은 최근들어 여성비율이 70%를 초과함에 따라 내년부터는 남녀 어느 성이 70% 를 넘지 않도록 하는 `양성평등채용목표제’를 도입키로 하는 한편 채용인원에 비해 여전히 승진, 보직상의 불이익을 받고 있는 고위직 여성공무원을 위해서는 별도의 능력개발 프로그램을 만들기도 했다.
/ 연합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