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와 지방지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3-02-05 19:42:2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ILINK:1} 지방지는 통상적으로 기초자치단체를 구독대상으로 하는 주간신문인 지역신문과 대비, 광역자치단체를 구독대상으로 발행되는 지방일간지를 말한다. 그런데 이 지방지의 대부분이 고사 위기에 놓여 있다.

이런 현상이 초래된 것은 사실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90년대 말 통계만 보더라도 지방지의 평균 납입 자본금과 매출액은 전국 종합일간지의 7분의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니 그 심각성이 어떠할지는 짐작이 가고도 남는 일이다.

신문지면이나 종사자들의 임금도 전국지 평균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일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신문의 숫자는 오히려 늘어나 곳곳에서 출혈경쟁을 벌이고 있다. 현재 문화관광부에 등록된 지방 일간신문은 시민일보 등 70여종에 이른다.

심지어 서울 인근의 경기도에는 지방지가 무려 18개나 된다고 한다. 이들 가운데 본보처럼 20면을 발행하는 지방지는 경인일보와 경기일보, 인천일보, 중부일보 등 5개지에 불과하다.

대부분이 16면 이하로 발행되거나 12면으로 발행하는 신문들도 수두룩하다. 본사처럼 윤전기를 제대로 갖추고 있는 신문사도 몇 손가락에 꼽힐 정도다. 그만큼 어렵다는 것이다.

사실 전세계 어느 곳에서도 우리나라처럼 전국지가 신문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나라는 없다. 게다가 10개 중앙지 가운데 조선-중앙-동아 등 특정 신문3개가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나라는 눈 씻고 찾아보려고 해도 찾아볼 수가 없다.

미국의 경우 월 스트리트 저널과 USA 투데이만이 전국지이고 나머지는 모두 지방지다. 우리보다도 국토가 작은 스위스에는 아예 전국지라는 것은 하나도 없다.

독일도 지방지가 전체 발행부수의 70%를 차지할만큼 지방지의 시장 점유율이 높다. 그런데도 우리나라만 유독 전국지가 신문시장을 독과점하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바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전무했기 때문이다.

독일은 60년대 접어들면서 언론의 독과점 현상이 나타나자 시장경쟁에서 열세에 놓여 있는 지방지를 적극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오늘날처럼 지방지의 발전을 가져오게 된 것이다. 우리는 독일의 60년대를 살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이런 현상에 벗어나야 한다. 더구나 지방자치제도가 실시되고 있는 만큼 지방자치단체는 건전한 지방지 육성을 위해 힘을 쏟아야 한다.

전국지가 지방자치단체에 관심을 갖는 경우란 극히 적기 때문이다. 가령 시민일보의 경우 서울 경기 인천에 20면의 대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그런데 전국지는 어떠한가. 기껏해야 한 두면이다. 따라서 지자체가 지방지를 지원육성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지방지의 영향력 감소 추세는 언론의 다양화에 역행한다. 그 결과 여론의 독과점이라는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는 지방지의 지원 육성은 불가피하다. 이 즈음에 ‘풀뿌리 지방지’가 언론개혁의 마지막 종착점이 돼야 한다는 어느 교수의 말이 새삼스럽게 다가온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