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당내 보수파의 대표격인 김용갑 의원은 “노 대통령의 사상과 이념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노 대통령의 발언이 헌법위반이자 국기문란 행위”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한나라당 의총은 결의문을 채택, “공산당 발언은 대한민국 국체를 부정하는 망언”이라고 규정했다.
이쯤 되면 필자가 ‘매카시즘’이라는 단어를 떠올리는 것도 결코 무리는 아닐 것이다.
매카시즘은 1950~1954년 미국을 휩쓴 일련의 반(反)공산주의 선풍으로 당시 상원 국내치안분과위원장이었던 ‘조지프 레이먼드 매카시(joseph r. mccarthy)’의 이름에서 유래된 말이다.
1950년 2월 매카시 의원은 “국무성 안에는 205명의 공산주의자가 있다”는 폭탄적인 연설을 했다.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냉전이 심각해지던 당시 미국은 경제 침체기에 있었고, 동독과 중국의 공산화와 소련의 원자탄 실험 성공 등 공산세력의 급격한 팽창에 위협을 느끼고 있었다. 이 때문에 매카시의 주장은 미국 국민으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결국 루즈벨트 대통령의 `뉴딜’과 트루먼 대통령의 `페어딜’ 등 복지국가를 지향하는 진보주의 정책까지 공산주의와 연계시켜 심판대에 올렸다.
어디 그 뿐인가. 할리우드 영화계와 방송계의 작가·감독·연예인 가운데 수십명이 공산주의자라는 멍에를 쓰고 `블랙리스트’에 올라 하루아침에 일자리를 잃었다.
유력한 정치가나 지식인들도 매카시즘에 두려움을 느끼고 그에 반론을 제기하지 못했다. 언론도 감히 이의를 제기하지 못했다. 그러나 매카시는 끝내 그가 말한 공산주의자가 누구인지 전혀 밝혀내지 못했다.
지금 한나라당 보수파들을 중심으로 터져 나오는 목소리를 들어보면 매카시 상원의원과 흡사하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노 대통령은 방일(訪日)중 중의원 의장 주최 간담회에서 “나는 한국에서도 공산당이 허용될 때라야 비로소 완전한 민주주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요지의 발언을 했다.
이는 우리나라가 공산당을 인정하지 않아서 민주국가로서 문제가 있다는 식의 네거티브한 언급은 결코 아니었다. 청와대도 그렇게 해명하고 있다. 노 대통령은 단지 서구나 일본에서처럼 제도권내에서, 합법적 테두리 안에서 활동하는 공산당에 대해 언급한 것일 뿐이다.
더구나 현행 헌법이나 정당법 등 관련법 체계상 공산당이라는 명칭을 쓰지 못하게 하는 규정은 없다. 현행법으로도 공산당 설립이 문제될 게 없다는 말이다.
그런데도 실재하지 않는 이유는 우리사회 여건상 공산당이 지지 받을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렇게 민감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그런데 모든 언론이 이에 대해 침묵하며 한나라당의 주장에 암묵적인 동의를 보내고 있다.
매카시즘이 떠오르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산시, 전국체육대회·장애인체육대회 폐막](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2/p1160278846346218_476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