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미산을 지키는 주민연대 모임은 최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시장은 ‘여론에 따라 성산배수지 건설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하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서울시와 마포구는 주민들이 참여하는 4자 협의체를 통해 향후 배수지 건설에 따른 논의를 벌이겠다는 약속을 깨고 일방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으나, 주민 51.8%가 반대의견을 밝혀 배수지 건설계획 재검토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愚’(?)를 자초했다.
그럼에도 시는 “여론조사 결과를 겸허히 수용해 공사계획을 철회하고 원점에서 재검토하자”며 시장면담을 요청한 주민들의 요구를 묵살하고, ‘서울지법에서 심리중인 공사방해금지가처분 및 공사중지가처분 3차 심리결과에 따라 향후 추진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회신을 보내 반발을 사고 있다.
주민들은 “시정책이 언제부터 법원의 심리결과에 의해 결정됐느냐”고 반문하면서, “배수지 건설에 대한 명분이 없어지자 시간 끌기 작전으로 나오고 있는 것 아니냐”며 강한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주민들에 따르면 이번 심리는 공사중지가처분신청은 주민들이, 공사방해금지가처분신청은 시공사가 각각 제기한 것이어서 시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지난 1월에도 시는 주민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수천 그루의 나무를 기습벌목 해 여론의 지탄을 받았는가 하면 지표조사를 회피하기 위해 공사면적을 문화재청에 축소 보고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또 통반장을 동원해 배수지 건설 찬성서명을 받아 반발을 사기도 했다.
‘시민과 함께 하는 일류 서울’을 건설한다는 슬로건이 그야말로 알맹이 없는 구호로 전락한 셈이다.
이러다가는 주민들의 표현처럼 거짓말을 일삼다 위험에 빠진 ‘양치기 소년’으로 낙인찍혀 향후 정책 수행에 따른 신뢰성을 상실하지 않을까 우려된다.
그렇지 않아도 청계천복원사업을 무리하게 강행키로 결정함으로써 청계천 상인들과 시민단체들로부터 질타를 받고 있지 않은가.
시는 지금이라도 지역주민들의 얘기를 귀담아 들고, 잘못된 정책은 과감히 수정·변경하는 용단을 내려야 할 때다.
최은택 기자volk1917@siminnews.net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