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 같은 이런 일이 실제로 경상남도에서 벌어졌다.
경상남도는 한해 기자들의 밥값으로 5267만원을 지불했다.
이는 하루 평균 20여만원으로, 도청출입기자가 20명이니까 한 기자당 매일 1만원씩을 세금에서 식사비로 제공한 셈이다. 게다가 창원시·마산시·진주시 등 도내 자치단체에서 사용한 비용까지 합치면 한해 ‘기자 밥값’은 무려 1억2405만원이나 된다고 하니 결코 적은 액수가 아니다.
이는 지자체가 어쩌다 하루 이틀정도 기자들에게 밥값을 접대하는 것이 아니라 상시적으로 접대하고 있음을 증명해 주는 자료로 상당히 충격적이다.
지금까지 지자체의 광고비 등이 공개된 일은 종종 있었으나 이처럼 출입기자 밥값 비용이 공개되기는 처음으로, 이와 유사한 사례는 다른 자치단체에서도 얼마든지 벌어질 수 있다는 데 문제의 삼각성이 있는 것이다.
만일 “단지 밥값 좀 얻어 썼기로서니 무슨 문제냐”하고 묻는다면, 그는 이미 기자가 아니다. 한두번 정도라면 인간 관계상 밥을 함께 먹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시적인 식사 접대는 기자윤리 강령에도 부합되지 않을뿐더러, 접대 수준을 넘어서는 일종의 뇌물이기 때문이다. 물론 기자 입장에서 식사 접대와 기사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겠다고 주장할 수도 있겠지만, 시민들의 입장에서 본다면 설득력이 없다.
같은 언론인의 입장에서도 그것은 웃기는 얘기다. 출입처에서 뇌물이나 받아먹는 기자가 무슨 기사를 제대로 쓸 수 있겠는가.
걱정스러운 것은 서울시청 출입기자들에게는 이런 현상이 없는가 하는 점이다. 청와대가 폐쇄적인 출입기자단 운영의 병폐를 알고 등록제로 전환시키면서 기자실마저 브리핑룸으로 완전히 개조시켰다. 중앙부처와 다른 자치단체도 이런 형태의 ‘열린 브리핑룸’을 만들어 가고 있는 추세다.
그런데 유독 서울시만 ‘독불장군’이다. 기자실을 브리핑룸으로 전환할 의사가 전혀 없어 보인다는 말이다.
사실 서울시의 기자단처럼 폐쇄적인 집단도 없을 것이다. 가관인 것은 서울시가 그것을 은근히 조장하고 있는 모양새를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서울시는 비판적인 언론이 서울시 기자단에 합류하는 것을 원치 않고 있다.
그 이유는 뻔하다. 출입기자단만 잘 관리(?)하면, 기자들의 입을 봉쇄(?)할 수 있을 것이란 판단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서울시에서 그런 관리비(?)로 얼마나 들어가는지 한번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어쩌면 기자 밥값 1억은 ‘껌 값’이라면서 코웃음을 칠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니 서울시와 관련, 제대로 된 비판 기사가 나올리 없다.
허나 지금 서울시가 간과하고 있는 일이 있다. 우리와 같이 폐쇄적인 기자단 무리에 속하는 것을 거부하는 ‘대안언론’의 입은, 그런 치졸한 방법으로는 결코 막을 수 없다는 사실이다.
행여 과거 우리와 같은 아픔을 겪었던 한계레신문이나 내일신문기자들은 이런 밥값에 넘어가는 일이 없어야 할텐데…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산시, 전국체육대회·장애인체육대회 폐막](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2/p1160278846346218_476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