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지방관가에서 6급 팀장들의 근무행태에 대한 이견이 분분한 것과 관련해 모 자치구 관계자는 “팀장의 애매한 직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고 이들이 소신 있게 근무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우선 팀장의 근무행태를 비난하는 측의 주장은 이들이 책임자도 실무담당자도 아닌 이유로 별로 하는 일 없이 하루 일과를 보낸다는 것이다.
특히 팀장들이 국민의 세금만 축내고 있다면서 이들을 비난하고 나선 한 자치구 관계자는 “인력난 해소를 위해서라도 이들에게 최소한의 업무를 맡겨야 한다”며 “실제 팀장들이 업무책임을 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차라리 오랜 근무경험을 가진 이들을 현장업무에 활용하는 것이 업무 효율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사실 결재권자도 실무담당자도 아닌 6급 담당의 직위가 애매한 것이 현실이며 이런 이유로 인해 이들의 근무행태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일각의 주장이 모두 틀렸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기자가 만난 모 자치구 C과장의 말에 따르면 실제 일을 하지 않는 팀장은 소수에 불과하며 모든 업무를 부서장이 판단하고 분석, 결정할 수 없으므로 팀장의 직위는 반드시 필요하다.
C과장은 “일부에서는 팀장이 일을 안 한다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으나 부서장 못지 않게 업무추진을 위해 고민하고 연구하는 직원이 팀장”이라며 “팀장이 없으면 부서장이 어떻게 모든 직원들을 상대로 지시를 내리면서 업무를 추진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사정이 이와 같다면 팀장의 근무행태에 대한 비난이 제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같은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지난 국민의 정부시절 팀장을 계선 라인에서 제외시키고 이들을 책임자가 아닌 협조자로 전락시켰기 때문일 것이다.
결재권 없이 단지 협조란에 사인만 하는 이들의 책임의식이 희석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현대행정은 어느 때 보다도 효율성이 강조되고 있다. 팀장들을 계선 라인 안으로 끌어들여 이들이 소신과 책임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든다면 업무의 효율성 제고는 물론 6급 팀장을 향한 하위직 공무원들의 불만도 없앨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