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도 지속적으로 공직사회의 개혁을 외치고 있으나 복지부동에 익숙해진 이들을 움직이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이정문 용인시장 또한 얼마전 공직사회의 기강 확립과 국민에 봉사, 공직자 스스로 자정운동에 나설 것을 천명한 바 있다.
용인시를 이끌어 가는 대다수 공무원에게서 찾을 수 있는 공통분모는 의식전환의 필요성이다. 지금까지 학연, 지연 등으로 얽혀 행정의 비효율성을 초래했다면 이젠 구태에서 벗어날 때가 아닌가 싶다.
난개발의 집중포화를 맞으면서도 그 현상이 중단된 것이 아닌 ‘계속 진행형’ 이라는 일부 공무원들의 자성의 목소리는 시사하는 바가 사뭇 크다.
스스로가 이렇게 느낄진대 이를 바라보는 주민들의 시각은 어떠할지 상상이 가지 않는가.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과 주민을 사랑하는 마음이며 자신의 업무에 대한 자긍심이다.
제대로 확립된 개개인의 업무에 대한 자긍심은 권위가 아닌 책임감과 직결되며 보다 나은 지자체를 위한 든든한 밑거름이다.
최근 밝혀진 두건의 잘못된 행정절차나 과오에 대해 민원이 있었음을 숨기는 것도 문제지만 관련 민원이 없었다는 이유로 문제화하지 않는다는 자세는 더욱 곤란하다.
업무에서의 역량은 그 누구를 위한 것이 아닌 시의 발전과 주민들을 위해 발휘해야 한다.
혹시 일정기간 근무하고 떠나 버리면 그만이라는 무책임하고 안일한 생각을 하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돌이켜 봐야 한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힘을 빌었던 불과 수년전, 일반 기업체와 그 종사자들은 살아남기 위해 뼈를 깍는 고통을 겪어야만 했다.
이들은 함께 일하던 동료들을 떠나보낸 아픔도 뒤로한 채 회사와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 여러번의 구조조정과 급여삭감으로 군살빼기, 리엔지니어링을 감행하는 등 위기를 극복코저 노력했다.
이제는 공직사회가 개혁할 때다.
시대의 흐름과 주민의 요구에 부응 혹은 앞서가기 위해서는 스스로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
모그룹의 회장이 ‘마누라와 자식만 빼고 확 바꾸자’고 외쳤던 것도 개혁만이 살길임을 절감했음이다.
공직사회라고 해서 결코 예외일수도 없고 또 그래서도 안된다.
오랜병에는 효자가 없다고 하나 공무원들의 의식전환을 바탕으로 한 개혁은 난개발이라는 중병에 걸린 용인시에 특효약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새롭게 태어나는 용인시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