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개혁 신당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3-08-30 17:04:4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 하 승 {ILINK:1} 지금 정치인들은 물론 국민들까지도 영·호남의 강고한 지역주의의 벽을 실감하고 있는 터다.

호남을 지역 기반으로 하는 민주당에서 영남출신의 대통령을 후보로 내고 그를 대통령에 당선시켰는데도 지역주의의 강고한 벽은 끝내 무너뜨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은 후보시절 필자에게 이런 말을 했었다.

“호남당에서 영남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지역주의는 그 날로 끝나는 것 아닙니까?”

그의 말에는 상당한 힘이 실려 있었다. 확고한 자신감이 내비쳐 보이기도 했다.

필자 역시 그의 바람대로 되기를 바랬다. 그러나 결과는 어떠한가.

오히려 민주당내 신당논의와 관련, 신·구주류간의 갈등에서 나타났듯이 지역주의 벽은 더욱 공고해진 느낌이다.

실제 엊그제 민주당 당무회의에서 난장판과 같은 싸움판이 벌어진 것도 바로 이 지역주의에서 기인한다. 간단하게 말하면 구주류에는 내년 총선에서 ‘호남’이라는 유리한 지역기반을 잃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신주류가 내세우는 ‘지역·국민통합과 정치개혁’이라는 명분이 영 못마땅할 수밖에 없다.

물론 신주류에는 ‘호남당’이라는 간판이 불리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내년 총선에서 유리한 지역 기반을 확보하려면 ‘호남당’이라는 간판이 당선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란 말이다.

그래서 정치 개혁을 주장한다면 이는 어불성설이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지역구 사정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사람들만이라도 먼저 개혁신당의 중지를 모으고 신당을 출범 시켜야 한다. 즉 영·호남이라는 지역주의 감정에서 비교적 여유를 지닌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의원들을 중심으로 한 개혁신당을 출범시켜야 한다는 말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한나라당 수도권 지역 진보성향 의원들이 탈당한데 이어 민주당 서울·경기·인천 지역 소장파의원들도 탈당을 전제로 한 세규합을 본격화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미 한나라당을 탈당한 5명의 의원과 민주당 선도 탈당파 10여명에 개혁당 의원들까지 가세할 경우, 원내 교섭단체 구성도 무난할 것이다. 개혁국민정당도 여기에 가세할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더 이상 머뭇거릴 이유가 없지 않는가.

정말 기득권을 버리고 정치개혁과 지역통합에 앞장설 각오가 돼있는 상태라면 더 이상 결단을 미뤄서는 안된다.

지금과 같은 싸움이 계속될 경우 신주류의 ‘진심’이 어떤 것이든 국민들은 그들도 기득권에 연연하고 있다는 의심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한나라당 탈당파 김영춘 의원은 국회의원 배지에 대한 미련을 버렸다고 했다.

물론 지역과 국민통합이라는 대의를 위해서라고 했다. 필자는 그의 말을 믿는다.

선거 때마다 등장하는 지역주의 감정에 이제는 정말 신물이 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