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수십년 동안 마련해 줬던 기자실은 30여평의 넒은 공간에 팩스를 비롯, 컴퓨터·전화·개인사물함 등 각종 비품과 경리직원까지 배려 받아가며 공간을 차지했었다.
당시 지방 일간지 기자들은 이같은 시의 배려도 불구, 이를 과감히 외면한 채 시대흐름에 부응하기 위해 기자실을 반납하고 외부에서 자체 사무실을 갖는 등 지방 언론의 변화된 보습을 보여 줬다. 이에 따라 성남시는 부족했던 사무실을 다소나마 해소하게 됐고 기자실 대신 브리핑 룸(10여평)을 설치해 운영하게 됐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브리핑 룸은 당초 취지에서 어긋나 지금에 와서는 아예 문을 잠근 채 공보실 창고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각급 사회단체를 비롯, 사법기관의 보도자료 등 창구역할을 해오던 공보실은 창구를 막고 있는 셈이 됐고 이제는 아예 자체 홍보만 각사 기자들의 메일을 통해 전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시 공보실의 독선 행정이 이제와서는 각 언론사를 평가하는 평가기관으로 자리하게 됐고 그 결과 성남지역에서 1년 이상 근무를 하지 않은 기자들은 각급 행사에 초청장 하나 제대로 전해 받지 못하는 차별대우를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시청 출입기자들은 상당한 불만을 갖고 있다.
왜 시청 공보실은 브리핑 룸을 설치하고도 창고로 사용하고 있는지, 브리핑 룸을 이용해 전달받아야 할 각종 정보를 받을 수 없도록 가로막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이토록 잘못된 고정관념은 시의 홍보기능을 무기력하게 만들고 있을 따름이다.
이와 함께 성남시는 새롭게 변화된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며 60~70년대 시청 출입기자들이 자신들의 방패막이를 위해 만들어 놓은 정관(규칙)을 근거로 성남시가 1년 이하로 근무한 기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잘못된 행위는 없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또 기자들을 관리하려드는 일부 몰지각한 공직자들은 그 생각 자체를 바꿔야 할 것이며 기자들 또한 이들의 잘못된 행위에 대해 과감히 지적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상호 신뢰를 갖질 것이며 불신의 벽도 허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기자들을 대상으로 出入通報서를 요구하는 행위와 오래된 신문과 新生社의 차별대우는 참으로 꼴불견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시는 정상적인 사고로 이미 만들어 놓은 브리핑 룸을 새롭게 운영해야 할 것이며 기자들을 대하는 모습도 달라져야 할 것으로 본다.
인근 광주시와 하남시의 브리핑 룸 운영방식을 살펴보기 바란다. 이들은 자신들의 홍보를 위해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새로운 모델이 될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