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소각장의 부실시공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3-10-04 16:44:5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김 동 환 수도권부 부장 {ILINK:1} 잘못 끼워진 단추를 처음부터 제대로 끼워보려 하지만 처음과 시작은 있어도 잘못된 결과에 대한 책임은 아무에게도 없다.

‘죽음의 재’로 불리는 다이옥신의 초과배출. 지난해 11월 두 차례의 다이옥신 배출검사 결과 소각로 1기에서 기준치(0.1ng)보다 높은 0.172ng와 0.149ng이 각각 검출돼 문제가 심각했던 의정부시 장암소각장. 또 시의 다이옥신 초과배출사실의 은폐와 들통.

지난 10월 1일. 의정부시는 30여억원의 경비 및 4개월간 보수를 거쳐 산업기술시험원으로부터 다이옥신 측정결과 기준치(0.1ng-TEQ/N㎥)이하인 0.02ng-TEQ/N㎥이 검출, 합격판정을 받아 소각장을 정상 가동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의정부소각장에 대한 불씨와 불신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으며 정상가동에 따른 운영 등에 대해서도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시민들의 국민감사청구가 아직도 남아있다.

지난해 의정부시의 다이옥신의 기준치가 두배 이상 초과되는 사실을 통보받고도 이를 은폐하려다 들통난 사실은 공직사회의 한 단면이다. 또 기준치가 정상이라는 의정부시의 발표는 시민을 우롱한 처사이며 공직사회가 얼마나 폐쇄적인가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이후 각종 의혹이 제기돼 장암소각장의 불·탈법운영, 부실설계 등은 의정부시의회의 소각장조사특별위원회의 구성으로 큰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서울지검 의정부지청의 의정부소각장 부실시공 및 운영과 관련해 전 현직시장과 관계자들은 12명은 무혐의 처리로 이에 대한 책임소재도 또한 명확한 것이 없다.

또 감사원의 감사결과 부실시공과 관련된 책임자 조치, 부실감리자에 대한 조치, 부실시공에 대한 하자보수 등이 지적됐으나 시공사인 SK건설, 감리자인 금오엔지니어링 등의 처벌은 벌점에 그치는 수준이다.

의정부소각장의 부실시공은 기본설계와는 달리 하향설계된 설계에서 이미 문제점이 예견되고 있었다.

어른에게 아이 옷을 입히는 꼴이니 그 옷이 제대로 맞을 리가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아무런 조치도 없이 진행된 공사는 부실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검찰의 결과발표가 지난 7월 결정됐지만 아직도 부실 시공 등에 대한 의혹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구리시의 소각장은 612억을 들여 2001년 준공. 건물 30층 높이의 구리타워가 전국의 명물로 되어가고 있으며 외국을 비롯한 전국 지자체의 소각장에 대한 벤처마킹 장소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10월 3일 현재 450개 단체 11만2000명. 중국 4회, 일본 4회, 동남아연수단 등이 벤치마킹을 실시했다.

또 주변의 실내수영장, 사우나, 축구장, 게이트장, 녹지공간등 주민편익시설은 구리시를 비롯 서울인근의 시민들로부터도 각광을 받고 있다. 이것이 바로 시민을 위한 책임 있는 행정인 것이다. 현재 구리시 상반기 다이옥신 측정결과는 0.0045ng-TEQ/N㎥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