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도론’ 고개짓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3-10-08 16:53:1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 하 승 {ILINK:1} 내년 총선을 앞두고 경기북도 분도론이 다시 도마위에 올랐다.

물론 이에 대해 손학규 경기도지사는 “분도는 경기도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손 지사의 의지표명에도 불구하고 분도론 논쟁은 쉽게 수면 하에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이번 분도론은 단순히 지역 정치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지방의회를 중심으로 상당 기간 폭넓은 논의와 공감이 이뤄진 데다 주민들까지 이에 적극적으로 동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경기북부 시군 의장협의회 김완수 회장은 최근 “경기북도 분도 필요성이 있으며 앞으로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특히 “경기북부 의장단 협의회에서 이런 내용에 원칙적으로 합의했으며 지역구 국회의원들도 대부분 분도에 뜻을 같이 하고 있다”고 밝혀 경기북도 신설추진에 지역적 합의가 이뤄지고 있음을 내비친 바 있다.

협의회는 이달말 연천군에서 열리는 협의회에서 사업방향을 최종 결정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져 분도 논의는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지난달 14일 경기북부 도의회 의원 14명도 경기도 제2청에서 열린 정기 간담회에서 ‘경기도의회 접경지역발전 추진특별위원회’구성을 결의하고 분도론과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특히 경기북부 한나라당 지구당 위원장들은 지난 달 서울에서 만나 ‘경기도 분도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목요상(동두천·양주)의원을 위원장으로, 홍문종(의정부)의원을 간사로 추대하는 등 분도 추진움직임을 구체화하기도 했다.

인터넷 포털 서비스업체인 두루(www.dooroo.net)가 최근 경기북부지역 주민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1%가 분도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도 분도론을 부채질하는 요인이다.

이런 상황에서 단순히 ‘분도는 경쟁력 약화 요인’이라는 논리만으로는 분도론을 잠재울 수 없다.

그렇다면 어찌해야 하는가. 두말할 나위 없이 분도론이 제기되는 근본 원인을 찾아 그를 치유해야만 한다.

우선 각종 규제로 지역 발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부지역을 위해 경기도가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 해야 할 일을 찾는 게 급선무다.

경기 남북부 문화 및 생활수준 격차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결코 분도론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 경기북도 주민들이 생활불편을 겪고 있다면 도는 마땅히 그에 따른 처방전을 제시해야만 한다. 그런 일을 외면하면서 “분도는 없다”고 외쳐본들 무슨 소용이겠는가.

한편 북부 지역 주민들은 분도시 다른 광역 자치단체와 견주어 경쟁력이 있는지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북부 지역 주민들의 감정은 이해하나, 분도를 강행할 경우 경기 남북지역 주민 모두에게 불행한 일이 될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