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벌언론과 대안언론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3-11-06 17:22:3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 하 승 {ILINK:1} 프랑스의 유력 일간 르몽드가 이례적으로 소위 ‘조중동’으로 불리는 한국의 주요 일간지 3사를 비판했다. 그것도 ‘한국에서, 정부는 매우 비판적인 신문의 지나침에 대응하고 싶은 유혹을 느낀다’라는 자극적인 제목을 단 기사였다.

이 기사에서 르몽드지는 속칭 ‘조중동’으로 불리는 조선, 중앙, 동아가 노무현 대통령과 공개적으로 전쟁을 벌이는 언론 및 족벌 제국을 형성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 이 3사는 87년 민주화가 시작된 후 조금도 변하지 않은 채 과거와 마찬가지로 보수진영과 재벌의 시각을 대변하고 있다는 따끔한 지적도 잊지 않았다.

사실 권력과 조중동의 관계는 과거 건전했던 적이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 61년부터 87년까지 군사독재 시절에 권력에 협력한 대가로 이들 3사는 사실상 탈세 면죄부를 받았고, 그런 정부의 지원(?) 때문에 오늘날 신문시장을 독과점하는 일이 가능했던 것이다.

그들은 지금도 무가지나 경품을 마구 뿌려대며, 신문시장의 독과점체제를 유지하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실제로 최근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신문사 지국들 중 무려 77.5%가 무가지나 경품을 제공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는 리서치 전문기관인 중앙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8월 18일~9월 6일까지 3주간 전국의 구독자 2510명과 지국장 130명 등을 대상으로 전화면접과 방문면접 조사를 실시한 결과였다.

더구나 조사대상 신규독자 중 63.4%가 전화기, 선풍기, 자전거, 청소기 등 규정을 초과하는 경품을 받았으며, 무가지 투입도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신문사들의 이런 불공정행위는 2003년 5월 27일 고시규정을 개정하기 이전(64%)보다 이후에 오히려 10.1%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신문고시가 효력이 없음을 방증하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 시민일보와 같은 뜻있는 지방신문이 아무리 용(?)을 써도 신규독자를 확보하는 일이 쉽지 않다.

실제로 신문은 ‘공짜로 보는 것’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우리는 시민들에게 공짜로 신문을 나눠줄 수 있는 여력이 없다.

더구나 값비싼 자전거니 청소기니 하는 것은 꿈도 못 꿀 일이다. 이런 불공정한 싸움에서 지방지가 살아남기는 매우 어려운 것이다.

지금 지방지들은 양 손발을 묶인 채 전국지들의 무지막지한 매를 견뎌내야 하는 형국이다. 이것이 개선되지 않는 한 특정 3사의 신문시장 독과점으로 인한 여론왜곡 현상은 결코 막을 수 없다.

지방지는 족벌제국의 언론과 대항해서 싸우는 대항언론이다. 특히 지방자치시대에 지방지킴이 역할을 수행하는 대안언론이기도 하다.

이런 언론이 건강 할 때에 지역이 발전하고 지방자치제도가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 정·관계 인사는 물론 학계와 시민단체 등 각계 각층의 뜻 있는 인사들이 속속 본사 자문위원으로 참여할 의사를 밝혀 오고 있다. 이들 가운데는 족벌제국 언론이 결코 지방자치발전에 기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절감한 지방정치인들이 많다. 그들은 대안으로 시민일보를 찾은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