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자원부와 경기도는 오는 2008년까지 경기북부지역에 섬유기술지원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그러나 섬유기술지원센터 유치선정을 놓고 한 지방자치단체가 ‘나 아니면 안된다’ ‘너 죽고 나죽자’ 식의 이전투구식의 행태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 양주시의 섬유업계 관계자도 경기도지사와의 면담을 신청해 놓은 상태다.
경기북부지역의 섬유산업은 지역내 수출 1위 산업으로 2001년 섬유수출액만 3천 625억으로 비중이 아주 큰 중요산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기북부지역은 섬유관련 전문연구기관이 없어 기술개발 및 지원의 결핍되는 등 기술개발 및 산업여건이 열악한 상태로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임가공 형태로 운영되기 때문에 기술 투자능력 및 전문인력 등의 부족이 심각한 상태다.
이에 산업자원부와 경기도는 ‘경기북부 섬유기술지원 기반 구축 타당성조사’를 통해 양주시와 동두천시를 유력후보지로 선정했으나 경기도는 부지선정을 앞두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양주시는 섬유기술지원센터로 유치하기 위해 3개의 후보지중 검준산업단지만이 타당성이 거론됐으나 이곳도 입지자체가 ‘폐수발생 무등록업체의 입주용도’로 조성목적에 부합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8월 경인환경관리청은 양주시에 공문을 보내 ‘입지의 부적합성’을 확인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입지선정과 관련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입지가 조건에 맞아야 되는 것 아니냐”며 “중요한 것은 폐수처리 등 입지선정과 관련 용도가 적합해야 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입지선정과 관련 “내년 산업기술조성사업에 대한 국비지원계획을 보면 입지선정과 관련 어느정도 윤곽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경기북부지역의 섬유기술지원센터 건립. 한 자치단체의 유치냐 아니냐보다 섬유업계 전체의 편리성이나 타당성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정부지원기관으로 경기북부전체의 섬유업체에 대한 신제품개발 및 고부가가치화 연구개발지원과 시제품생산 마케팅지원 등 염색가공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