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기는 ‘경선’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4-01-04 17:45:5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ILINK:1} 민주당의 총선후보 선출 관련 당헌 규정이 모두 현역 지구당 위원장에게 유리하게 돼있다. 정말 웃기는 경선 규정이다.

우선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가 되고자 하는 지구당 위원장은 원칙적으로 후보선출을 위한 경선일 3개월전에 지구당위원장직을 사퇴하도록 돼있으나, 이번 17대 총선에서는 적용하지 않는 예외규정을 두고 있다.

더욱 가관인 것은 총선후보 선출 방식의 결정 방법이다.

물론 형식적으로는 지구당 상무위원회가 ▲국민참여경선 ▲전당원 경선 ▲여론조사 방식 등 총선후보 선출을 위한 3가지 방안중 택일하도록 돼있다.

하지만 현직 지구당위원장이 지구당 상무위원회 구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행사하기 때문에 선출 방식을 결정함에 있어서 현 지구당위원장에 유리한 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삼척동자라도 알만한 일이다.

이같은 방식은 사실상 호남 등에 집중된 민주당 현역 지역구 의원에게 경선의 기득권을 인정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죽하면 지구당위원장의 제왕적 권한을 유지시켜주는 현행 경선방식을 갖고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도전한다 해도 후보가 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소리까지 나오겠는가.

이런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신진인사들이 지구당위원장과 공정한 경쟁을 하기가 어려울 것이고, 결국 현역 의원들이 대부분 재출마하게 될 것이 분명하다. 당연히 정치개혁과는 거리가 멀 수밖에 없다.

이런 경선이 되어서는 곤란하다.

따라서 지구당위원장직 사퇴 규정을 당장 17대 총선부터 적용하는 게 옳다.

또 지구당 상무위를 지구당 위원장이 아니라 경선후보들이 함께 협의해 구성토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런 일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총선 후보 선정은 여론조사를 토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당원 50%와 신규 당원 50%로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국민참여경선이나 100% 당원이 참여하는 전당원경선의 경우에는 사실상 지구당을 장악하고 있는 기존 위원장의 기득권이 보장돼 불공정 경선 논란이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기성 정치인에 대한 유권자들의 `물갈이’ 여론도 반영할 수 없을 것이다.

여론조사 방식은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말은 기득권을 지키려는 변명에 불과하다. 지난 대선에서도 후보단일화가 여론조사를 통해 이뤄질 만큼 여론조사 방식은 이미 객관성을 인정받은 상태 아닌가.

우리는 지난 6.13 지방선거와 8월 실시된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시민일보 보도내용을 여론조사 참고자료로 활용, 공천을 실시한 정당이 대승하는 것을 눈여겨 보아온 터다.

하물며 공정하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다면 필승후보 고르기가 가능하지 않겠는가.

지금 민심은 ‘물갈이’를 간절히 원하고 있다.

이런 민심을 거역한다면 어느 정당이든 막론하고 결코 표를 얻지 못할 것이다.

이는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도 마찬가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