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당 경선 따라 배우기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4-03-07 20:03:0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 하 승 {ILINK:1} 여야 각 당에서 4.15 총선 후보선정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경선이나 여론조사가 매끄럽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온갖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가장 바람직한 모델로 알려지고 있는 열린우리당의 국민참여경선도 국민여론을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본래의 취지와 달리 모순이 많은 것으로 드러나고 있는 마당이다.

국민참여경선은 지역구에 거주하는 총 유권자의 0.5% 이상을 경선인단으로 선정한 후 경선인단에게 투표권을 부여, 지역구의 최종후보를 가리자는 것이다.

얼핏 최고의 방법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경선인단 선정방법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너무나 허점이 많다. 먼저 지역구내에 등록된 가구전화로 3일간 무작위로 전화를 걸어 ‘어느 정당을 지지하는가’하고 묻는다.

이때 ‘열린우리당을 지지한다’거나 ‘지지정당이 없다’고 답변하면, ‘국민경선에 참가의사가 있느냐’고 되묻는다.

응답자가 “참가하겠다”고 답변하면, 경선인단으로 선정된다. 이때 만일 다른 정당 지지자가 ‘열린우리당을 지지한다’거나 ‘지지정당이 없다’고 답변만 하면 경선인단에 낄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문제다.

실제로 서울 모 지역에서 경선을 실시했는데 열린우리당 경선인단 명단에 한나라당 핵심지지자가 현재까지 확인된 것만 무려 27명이나 끼어있었다고 한다.

그들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사람, 즉 지지하는 정당후보의 당선을 돕기위해 가장 만만한 사람(?)에게 표를 주었을 것은 자명한 이치다.

중앙당에서 파장을 고려, 아직까지 ‘쉬쉬’하고 있으나 이는 이미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사실이다.

더구나 오후 1시부터 9시까지 각 가정으로 전화를 거는 데 그 때 직장인들이 집에 남아 있을리 없다.

그 시간에 전화를 받는 사람들은 대부분 고령층이거나 가정주부들일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선거인단으로 경선을 치를 경우, 이들에게 로비가 가능했던 지역토호세력에게 유리할 것은 뻔한 일 아니겠는가.

본선 경쟁력이 높은 정치신인들이 줄줄이 낙마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사실 말이야 바른말이지 불과 수백명의 선거인단이 ‘옹기종기’ 모여 뽑은 경선에 무슨 대표성을 부여할 수 있겠는가.

그러면 어찌해야 하는가.

필자는 민주노동당의 후보선정 방법을 각 정당이 따라 배워야 한다는 판단이다.

민주노동당은 입당후 최소한 3개월은 지나고, 매달 자신이 약속한 당비를 충실히 납부해야만 당권을 부여한다. 3개월 이상 당비를 연체하면 바로 당권을 박탈당한다.

당권이 있어야만 피선거권을 갖는 것은 물론이고 당내경선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자격이 부여된다.

따라서 상대당 후보를 이롭게 하기 위한 위장투표는 고사하고, 어제 입당해서 오늘 아무 연고도 없는 지역에 낙하산으로 출마하는 황당한 일은 생각조차 할 수 없다.

따라서 전화조사를 통한 선거인단 모집이니, 여론조사니 하는 이상한 꼼수를 부리지 않아도 된다.

각 정당이 정말 제대로 된 상향식 공천을 하고 싶다면, 바로 이런 민노당의 경선 방식을 배워야만 할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