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신문과 共配제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4-05-24 20:17:4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고 하 승 편집국장 {ILINK:1} 지역신문의 최대 난제(難題)는 배달시스템의 확보다.

조선 중앙 동아 등 소위 메이저 3사가 배달시스템을 장악하고 있는 상태에서 경향신문 등 일부 마이너사가 공동배달제 실시를 위해 공배사를 탄생시켰으나 지역신문은 여기에서도 제외된 상태다.

공배제는 신문시장 정상화 차원에서 도입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온 제도로 특정 전국지의 전유물이 아니라 어떤 신문사도 참여할 수 있는 제도여야 한다.

단순히 몇몇 신문사들의 필요에 따라 추진되는 제도라면 이미 정상적인 제도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민일보와 같은 지역신문의 공배제 참여는 마땅히 보장돼야 할 것이다.

지역신문이 자체 조직망을 갖춘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배달 동선이 길고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시민일보의 경우 일부 지역은 배달비가 1부당 월 1만원이 되는 곳도 있다.

독자가 많은 지역이라고 해도 월 2000~3000원선은 기본이다.

월 구독료 1만원짜리를 배달비용으로 쓰고 나면 남는 게 없다.

이런 상태에서 일반 서울시민을 신규독자를 확보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그나마 서울에도 지역일간지 하나쯤은 있어야 한다는 의식 있는 서울시민과 자치단체장을 비롯, 지방의회 의원, 시민단체 및 각 직능단체 회원, 공무원, 지역 경제인 등이 자발적인 구독운동을 전개해 주기 때문에 고사(枯死)상태를 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공배제가 조속한 시일내에 이뤄져야 하는 것이다.

지금 신문독자들은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배달이 잘되는 신문을 읽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시민일보를 구독해 보려면 그 과정이 조금 번거롭다. 그래서 기피하는 독자들도 상당 수가 있다.

만에 하나 공배제가 원활하게 돌아가기만 한다면 우리는 어느 신문과 경쟁해도 이길 자신이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 시민일보만이 제공해 줄 수 있는 독특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수도권 지역의 지방자치에 관한한 우리는 정보의 보고(寶庫)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런 특화된 정보는 전국지가 감히 따라 올 수 없다. 물론 사이비 지역신문도 마찬가지다.

시민일보 흉내를 낼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정보 제공에는 지면 제약 등 많은 한계가 있다.

흉내는 어디까지나 흉내일 뿐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정상적인 지역신문을 발전, 육성시켜야 하는 것이다.

그러자면 당연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특히 지역신문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은 매우 절실하다.

그리고 그것은 지방자치단체로서 당연한 의무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신문은 지식을 제공하는 정보산업이기 때문에 독자들로 하여금 신문을 쉽게 구독해 볼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해 준다면 그것은 곧 지방자치와 지역 발전에도 도움이 되는 까닭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