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사를 자국사에 편입하기 위한 중국의 동북공정은 지난 2월부터 시작됐다.
통일후 한국이 만주지방의 200만 조선족을 등에 업고 만주의 영유권 주장을 들고 나올지 모른다는 공산당 내부의 우려가 작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아무리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것은 너무 심했다.
사실 고구려사 문제가 한·중간 역사전쟁으로 비화되면 한·중관계는 물론 중국 외교에도 치명타가 될 것은 자명한 이치다. 실제로 `허핑 줴치’ 외교 정책을 표방하고 나선 중국이 고구려사 왜곡으로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한 한국과의 관계를 손상했다는 지적이 있는 마당이다.
그런데도 중국은 우리정부의 고구려사 왜곡시정 요구를 면전에서 눈 하나 깜박하지 않고 일언지하에 거절하는 뻔뻔함을 보이고 말았다.
주일 대사로 내정된 왕이(王毅)부부장이 지난 2월 방한 당시 “고구려사 문제가 양국 관계를 손상하지 않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한국 정부에 약속한지 불과 두달만의 일이다.
중국은 홈페이지에서 일방적으로 고구려사를 왜곡한데 이어 시정 조치는커녕 아예 정부수립 이전 한국사를 전면 삭제하는 등 노골적으로 우리의 요구를 무시하고 있는 것이다.
어디 그뿐인가.
중국은 우리의 거센 항의와 반발 속에서도 일부 교학 교재에 고구려사 왜곡을 조장하고 있는가 하면, 일선 학교들에 대해 고구려사를 자국사로 기술해 가르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마당이다.
이 같은 중국의 태도는 ‘패권적 역사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에 합당한 대응을 해야 할 것이다.
물론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정부의 의지다.
이 문제는 양보하거나 타협할 외교적 사안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우리 정부는 지나치게 외교적 실리를 추구하느라 ‘저자세’로 일관하고 있으니 답답할 노릇이다.
말이야 바른 말이지 우리정부는 말로만 강경대응을 외칠 뿐, 그 어떤 구체적인 대응을 취한 일이 없다.
오히려 중국에 대한 제재조치는 모두 “안된다”는 식이다.
‘주중대사 소환’은 북핵문제 등 중국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서 양국간 외교적 갈등만 심화시키기 때문에 전혀 검토하지 않는다고 했다.
또 중국에 대한 투자 축소는 경제상황과 탈북자문제 등으로 취하기 어렵단다.
그러면서도 정부는 여전히 중국교과서에서의 왜곡 등 더 이상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으니 참으로 가관이다.
뒷심 없는 그런 으름장을 누가 두려워한단 말인가.
정부가 말하는 것처럼 국제학술대회에서 중국의 역사왜곡을 알리는 것만으로도 정말 고구려사 왜곡문제가 바로잡히리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너무나 순진한 발상이다.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은 우리민족의 혼과 정체성을 빼앗는 중차대한 사항이다.
따라서 정부는 소리만 요란한 ‘빈수레’의 모습을 보일 것이 아니라 보다 단호한 태도를 취해 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산시, 전국체육대회·장애인체육대회 폐막](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2/p1160278846346218_476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