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그 사람들’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5-01-25 20:23:0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고 하 승 편집국장 {ILINK:1} 지금 온 장안이 한 편의 영화로 떠들썩하다.
바로 지난 1979년 10월26일 박정희 전 대통령 저격사건을 둘러싼 당시의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다룬 ‘그때 그 사람들’(임상수 감독, 제작 MK픽처스)을 두고 하는 말이다.

엊그제 열린 공개시사회에서 국내외 기자들이 열띤 취재경쟁을 벌인 것만 봐도 그 상황이 어느 정도인지 쉽게 가늠할 수 있는 일이다.

이날 시사회에는 정청래, 이인영, 김재홍, 배기선 열린우리당 의원과 이계진, 한선교 한나라당 의원, 손봉숙 민주당 의원, 천영세 의원을 비롯한 민노당 당 관계자들과 시민단체에서도 대거 참석했다고 하니, 정치권에서도 관심을 갖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필자가 특별히 이 영화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조금 다르다.

정치적 관심사라기보다는 단지 박 전대통령의 아들인 지만씨가 상영금지 가처분 소송을 냈기 때문이다.

재판부는 지난 21일 1차 심리에 이어 오는 28일 2차 심리를 갖고 이달 말까지 결론을 낼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영화는 오는 2월3일 개봉될 예정이지만, 현재 소송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예정대로 개봉이 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그러면 지만씨는 왜 이 영화에 대해 상영금지 가처분신청을 냈을까.

아마도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이 박 전대통령에게 두번째로 총을 겨누면서 “다카키 마사오”라고 박 전 대통령의 일본 이름을 부른 것이 주요 원인인 듯 싶다.

심수봉 역의 김윤아가 박 전 대통령역의 송재호 앞에서 엔카를 부르는 장면도 그의 심기를 건드렸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게다가 영화 속에서 중앙정보부(현 국정원) 직원들이 당구를 치면서 국가보안법을 조롱하는 대사는 지만씨는 물론, 국가보안법 폐지를 반대하는 수구세력들로 하여금 견딜 수 없도록 만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영화는 어디까지나 영화일 뿐이다. 여기에다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진실이냐를 묻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김 전 부장이 진짜 박 전 대통령에게 ‘다카키 마사오’라고 불렀는지도 확실치 않다.

특히 영화 속에서 김 부장의 거사는 필연과 우연의 뒤범벅이다.

어떻게 보면 치밀한 계획이 있었던 듯하고, 또 어찌 보면 모두가 우연인 것 같기도 하다.

영화는 여전히 진실규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말이다. 사실 한 편의 영화가 그때 그 사건의 모든 진실을 알려줄 수는 없는 노릇일 것이다. 또 그것을 기대한다면 미친 짓이다.

실제로 이 영화는 김 전 부장을 민주주의자로서 유신의 심장을 쏜 사람으로 기억할 것인지, 아니면 한낱 돈키호테적 과대망상에 빠진 사람으로 볼 건지에 대해 명확하게 밝히지 않고 있다. 그 판단은 어디까지나 영화를 본 관객들의 몫으로 남겨두고 있다.

따라서 이를 두고 정치권이 일희일비한다는 것은 저급한 수준의 코미디에 불과할 뿐이라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