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운동 시대 ‘팡파르’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5-03-30 21:22:4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고 하 승 편집국장 {ILINK:1} 서울 지역운동에 관심을 가지는 사회단체들이 모여 지난 29일 서울시민연대를 창립했다.

시민연대는 창립선언서를 통해 “서울 지역의 사회단체들 및 풀뿌리운동 단체들 간의 연대와 협력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서울이 문화, 환경, 복지, 인권, 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바람직한 지역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하고 실현하기 위함”이라고 출범동기를 밝혔다.

한마디로 서울을 시민이 주인이 되는, 시민의 삶이 중심이 되는 도시로 만들기 위함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시민연대에 거는 기대가 크다.

더구나 시민연대에 참여한 단체들은 지금까지 시민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온 역량있는 단체들이고, 그런 의미에서 이런 단체들의 연대는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사실 지역운동은 중앙운동 못지않게 의미가 있다. 지역운동을 통해 시민들이 자기들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풀뿌리 민주주의와 생활정치를 발전시킬 때 민주주의는 굳건히 뿌리를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시민들의 구체적인 삶의 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도 서울 지역운동에 관심을 갖는 시민단체는 두드러지게 나타난 바 없다.

이로 인해 서울시는 예산의 규모, 행정의 영향력 등이 중앙정부에 못지않음에도 불구하고, 시정감시의 공백으로 남아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서울에 소재한 많은 사회단체들이 중앙정부의 권력을 감시하는 동안, 서울시정에 대한 비판적 관심은 상대적으로 소홀했기 때문이다. 물론 서울 각 구와 동네에는 주민들과 함께 오랫동안 활동한 풀뿌리운동 단체들이 있다. 그러나 이들 단체는 주민의 삶에 작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서울의 광역시정을 감시하고 견제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들이 살고 있는 서울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오로지 개발에만 몰두, 결국 서울을 황폐화시키고 말았다.

이미 서울의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과 고유성은 돌이키기 어렵게 파괴되고 말았으며, 그로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사회적 약자들에게 집중되고 있다.

서울에서 살아가는 시민의 삶이 철저하게 파괴되고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서울 지역운동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뒤늦게나마 서울지역 사회운동의 연대기구인 ‘서울시민연대’가 창립된다니 얼마나 반가운 일인가.

이들은 향후 서울지역에서 활동하는 사회단체들, 풀뿌리운동 단체들 간의 일상적인 교류와 의사소통, 협력망의 역할을 함으로써 서울시의 행정을 감시하고 시민사회의 대안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한다.

그들의 이런 노력을 통해 서울이 생태와 문화, 복지와 인권이 살아 숨쉬는 도시로 탈바꿈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모쪼록 ‘시민이 주인이 되는 서울’이라는 서울시민연대 활동의 전제이자 목표가 실현되기를 고대하는 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