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과 연정을 하는 당과는 2006년 지방선거에서 연합공천을 할 수 있다거나, 그것이 지역구도를 극복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라는 소리가 들리는가 하면, 심지어 열린우리당 배기선 사무총장은 6일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민주당과의 합당문제에 대해 “가능하면 합당을 해야 한다”고 꺼져가는 ‘합당론’에 불을 댕겼다.
그렇다면 도대체 노 대통령이 ‘생뚱맞게’ 연정론을 제기한 이유는 뭘까.
이런 저런 미사여구가 많지만, 한마디로 여소야대 상황에서 정국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카드의 성격이 짙다. 실제로 연정 발언은 한나라당이 제출한 윤광웅 국방장관 해임건의안 표결을 일주일 앞둔 지난달 24일 처음 제기됐다. 여소야대 상황에서 야당이 모두 찬성표를 던질 경우, 윤 장관의 해임안은 가결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를 막자면 최소한 어느 한 정당이라도 여당 편에 서줘야만 하는 데, 그러자면 ‘연정’이라는 미끼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러면 정작 연정을 구성하고, 여권의 바람대로 여대야소 상황을 만들어 주면 그때는 제대로 할까?
미안한 말이지만 믿을 수 없다.지난 17대 총선에서 국민들이 열린우리당에 과반 의석을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뭐 하나 시원하게 제대로 일을 처리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과거사법, 사학법, 국보법 등 이른바 ‘3대 개혁입법’이 한나라당의 반발에 부딪혀 아직까지 지지부진한 상태다.
법안 처리로 인한 부실·졸속 심의, 법사위 점거 농성 등 낡은 정치행태를 답습했던 것도 지난 2월, 즉 여당이 관반 의석을 유지하고 있을 때다.
당시 여야는 지난 연말 정기국회에서 처리하지 못하고 미뤄둔 각종 개혁법안들에 대해 제대로 심의조차 하지 못했다. 우선 여야의 의견이 첨예한 국가보안법 폐지안의 경우 여대야소 상황이던 2월 임시회에서는 아예 논의의 안건으로 선정되지도 않았다.
한마디로 국민이 만들어준 여대야소 상황에서도 노 대통령과 여당은 이를 적절하게 잘 운영하지 못했다는 말이다. 하물며 인위적인 여대야소 상황에서야 오죽하겠는가.
그런데도 ‘연정(聯政)’ 구상을 실현시키기 위해 이처럼 노골적으로 민주당과 민노당에 구애(求愛)하는 여권의 모습을 바라보노라면 마치 ‘연정(戀情)’에 안달이 난 암캐를 보는 것 같아 여간 씁쓸한 게 아니다.
그러나 ‘미끼’를 던지는 식의 애정표현을 사랑이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열린우리당이 민주당과 짝을 짓든(합당), 민노당과 짝을 짓든(정책공조) 그것은 진정한 의미에서 사랑이라고 할 수 없다는 말이다.
사랑에는 최소한 ‘미끼(연합정부)’라는 전제 조건이 따르지 않는 순수함이 있어야 한다.
여권이 초심을 가지고 개혁을 추진해 나간다면, 민주당과 민노당에 굳이 미끼를 던지지 않아도 국민의 뜻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랑(공조)이 이뤄질 것이다.
이 같은 순리를 무시하고 사랑을 억지로 만들려고 하니, 자꾸 구설수에 오르는 것 아니겠는가. 구설수에 오른 사랑은 간통에 불과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산시, 전국체육대회·장애인체육대회 폐막](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2/p1160278846346218_476_h2.jpg)
![[로컬거버넌스] 경기 부천시, 노인 스마트 복지인프라 확충 박차](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1/p1160278735531867_691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