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유통원의 존재 이유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5-09-04 19:58:0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고하승 편집국장 {ILINK:1} 문화관광부는 지난달 31일 프레스센터 19층 회의실에서 신문유통원설립준비위원회 첫 회의를 하려했으나 결국 무산됐다.
]
전국언론노조의 거센 항의 때문이었다. 만일 노조의 이 같은 항의가 없었다면, 신문유통원회의는 첫날부터 엉뚱한 방향으로 나아갔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노조의 이번 항의는 매우 적절한 조치라고 할 것이다. 이 문제를 논하기 위해서는 기본상식이 있어야 할 것이다.

우선 신문유통원은 왜 필요한가.
바로 공동배달제(공배제)를 시행하기 위함이다.
그렇다면 공배제는 왜 시행해야 하는가.

지금 신문판촉 과열현상이 위험수위에 도달했으며, 복마전처럼 얽혀있는 신문 판매시장을 바로잡는 유일한 대안이기 때문이다.

공배제를 실시할 경우 각 신문사는 배달 부문에서의 불필요한 중복 투자를 줄여 독자들에게 그 이익이 돌아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조선·동아·중앙 등 특정 과점 신문들이 판매시장과 광고시장까지 장악한 현재의 신문시장 구도에서 살아남기 어려운 다른 신문들의 자생력을 높여 독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신문 선택권을 보장받게 해주기도 한다.

그러나 지금은 조·중·동 등 일부 언론사의 여론 과점현상으로 인해 여론왜곡현상마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따라서 신문유통원설립준비위원회는 조.중.동 등으로 인해 파생되는 잘못된 구조를 바꾸기 위한 회의여야 한다.

그런데 문·화관광부가 신문유통원 설립 준비위원으로 중앙일보 자회사의 이병석 상무를 추천했다.

경품 제공과 끼워팔기를 일삼는 특정 과점 언론사의 병폐를 바로잡기 위해 유통원을 설립해야 하는데, 그런 일을 일삼는 언론사 관련자가 준비위원으로 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문광부는 중앙일보가 그동안 경품과 무가지를 무차별적으로 뿌려대는 등 약탈적인 방법으로 신문시장을 장악하고 파괴해왔다는 사실을 모르지는 않을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그런 언론사 관계회사의 임원을 신문유통원의 골격을 짜는데 참여시킬 수 있다는 말인가.

신문유통원은 독자가 원하는 신문을 전국 어디나 배달할 수 있는 공배제 체제를 갖추기 위한 것임을 정녕 모른단 말인가.

만일 문광부가 이 같은 사실을 알면서도 신문유통원설립을 반대하는 언론사 관계회사임원을 회의에 참여시켰다면, 그 의도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겉으로는 공배제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척 하면서도, 실상은 특정 과점 언론사를 끼고도는 수작이 아닌지 의구심이 들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지만 신문유통원 설립을 반대하고 이를 왜곡보도해 온 중앙일보 계열사의 전 임원은 준비위원 자격이 없다.

따라서 문광부는 이병석씨의 준비위원 위촉을 즉각 취소해야 할 것이다. 참여정부의 언론정책이 ‘개혁’이라면, 신문유통원 설립의 필요성을 알고 있다면, 문광부는 이 같은 요구를 결코 외면해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