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금실의 '시민후보'는 사기극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6-03-27 19:06:3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고하승 편집국장 {ILINK:1}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코리아 리서치 김덕영 사장은 최근 한 인터넷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강금실 전 법무장관이 열린우리당에 입당하더라도 그 효과가 전국적인 측면에서 정당지지도를 끌어올리는데 크게 기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그 이유에 대해 “한사람의 입당으로 정당의 지지도가 변하지는 않을 것이고, 그게 구도상의 큰 변화가 있는 건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강 전 장관도 이를 잘 알고 있다는 듯이 “출마를 하더라도 여당 후보라기 보다는 서울시민의 후보로서 움직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열린우리당 후보로 지지도를 끌어올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시민후보라는 ‘허울’을 쓰겠다는 뜻이다.
열린우리당 전략기획위원장인 이광재 의원 역시 27일 한 방송에 출연해 “열린우리당을 지지하지 않는 많은 중도에 있는 사람이 실제로 강 전 장관을 많이 좋아한다”면서 강 전 장관의 ‘시민후보’ 방침을 강력히 시사했다.
그러나 이 의원은 시민후보라는 이름의 무소속 출마 가능성에 대해서는 한마디로 일축했다.
즉 소속 정당은 열린우리당이면서 ‘서울시민 후보’를 표방하겠다는 뜻이 담겨있다.
하지만 이는 정당정치를 모욕하는 행위이자 일종의 정치사기극이다.
지방선거는 정당의 정책을 보고 투표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정당의 후보자들은 당론과 소속 정당의 정책에 입각한 공약을 제시해야만 한다.
정당정치는 책임정치이기 때문에 반드시 그렇게 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것은 선택 사항이 아니다.
한나라당 후보는 한나라당 당론과 정책에 충실한 공약을 내세우고, 열린우리당 후보는 열린우리당 당론에 입각한 공약을 제시하는 것이 맞다. 또한 민주당 후보는 민주당 당론을 따르고, 민주노동당 후보는 민주노동당 당론에 충실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강 전 장관은 열린우리당 후보로 출마하면서도, 서울시민후보라는 별도의 간판을 달겠다고 하니 참으로 걱정이다.
강 전 장관의 ‘시민후보론’은 열린우리당의 정책에 자신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차라리 열린우리당 간판을 떼어 던져 버리고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박쥐처럼 이해관계에 따라 때로는 여당 후보로, 때로는 시민후보로 탈을 바꿔 쓰는 것은 유권자에 대한 기만행위이자 정치 사기극으로 비난받아 마땅하다.
서울시민들은 시장 후보자의 입을 통해 그 후보들이 속한 당의 당론을 듣기를 원하고 있다.
그런데 소속 정당의 색깔을 최대한 드러내지 않고, 개인만 그럴 듯하게 포장해 선거를 치르겠다면, 어떻게 그를 믿고 귀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겠는가.
거듭 말하지만 강 전 장관은 열린우리당 후보인지, 아니면 무소속 후보인지 분명하게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야 한다. 열린우리당 후보는 결코 시민후보가 될 수 없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