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한나라당 경선 주자간 토론회 이후 언론을 통해 준비 안 된 오세훈 전 의원의 실체가 드러나면서 급격히 지지세가 빠져나가는 데 따른 일종의 위기돌파 전략으로 풀이된다.
실제 수요모임 대표인 박형준 의원은 14일 국회 기자실 브리핑을 통해 “지도부의 행보에 수요모임도 적극 동참해 당의 변화와 혁신을 위해 힘을 모을 것”이라며 “지금은 책임론을 거론할 때가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당 지도부가 의지를 갖고 공천비리를 포함한 모든 문제에 정풍운동을 한다는 각오로 대처해야 한다”며 “이번 사건을 당내 갈등으로 몰고 가기보다 지도부를 중심으로 당이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는 이틀 전 수요모임이 모임을 갖고 당 지도부의 총사퇴를 요구하면서 박근혜 대표를 압박하던 모습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그렇다면 수요모임이 왜 이처럼 한발 물러선 것일까?
자신들이 공들여 서울시장 후보로 영입한 오세훈 전 의원이 두차례의 토론회 과정에서 준비되지 못한 모습을 보인데 따른 불안감 때문이다.
실제 오 후보는 두차례의 토론회에서 자신이 발표한 공약에 대해 홍준표 후보로부터 “남의(서울시정개발연구원) 자료를 베껴 공약으로 내세웠다”는 뼈아픈 지적을 받기도 했다.
물론 오 후보가 “남의 정책이 아니라 서울시정의 우수한 석박사들이 오랫동안 고민한 연구를 차기 시장으로서 고민하고 연구하겠다는 뜻”이라는 말로 위기를 넘겼으나, 이는 사실상 자신의 정책이 준비되지 않았음을 시인하는 것이어서, 그의 경선가도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 분명해 보인다.
따라서 수요모임은 전략을 일부 수정, ‘오세훈 일병 구하기’ 차원에서 당지도부 끌어안기에 나선 것이다. 당 지도부가 급격하게 맹형규 후보 쪽으로 쏠릴 경우, 가뜩이나 당내 지지기반이 취약한 오 후보는 경선에서 승리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수요모임이 ‘지도부책임론’ 제기에 대해 표면적으로는 한발 물러선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이번 기회에 공천비리 관련자를 과감히 색출해 당 지도부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남아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박형준 의원도 “당지도부 책임론은 때가 아니다”고 말해 또 다시 공천잡음이 흘러나올 경우 지도부에 대한 압박에 들어간다는 방침을 분명히 하고 있다.
특히 열린우리당이 지방선거를 40여일 앞둔 이같은 ‘호재’에 총공세를 예고하고 있어 공천비리 의혹 문제가 확대생산 될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
이같이 당 안팎에서 지도부 사퇴주장이 흘러나올 경우 ‘탄력을 받은’ 수요모임이 다시 지도부 압박의 전면에 나설 것이다. 즉 수요모임이 지도부 사퇴요구 방침을 철회한 것은, 이를 포기한 것이 아니라 작전상 후퇴에 불과하다는 말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산시, 전국체육대회·장애인체육대회 폐막](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2/p1160278846346218_476_h2.jpg)
![[로컬거버넌스] 경기 부천시, 노인 스마트 복지인프라 확충 박차](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1/p1160278735531867_691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