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니 그것을 (당이) 존중해 달라는 것이다. 물론 인사는 대통령의 권한이다. 그리고 그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존중돼야 한다.
그러나 인사는 대통령의 권한이기는 하되, 그렇다고 해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조선 왕권시절에도 인사문제만큼은 철저하게 여론에 귀를 기울였다.
조선 3대 임금인 태종이 1401년 사간원을 설치했다. 사간원은 임금이 정치를 펴 나가는 데 잘못된 점이 있으면 바른말로 고하게 하는 구실을 맡았는데, 특히 인사 문제에 대한 반대 의견을 제기하거나 공직에 있는 사람의 부정이나 비행에 대해 추궁하는 등 정치에 관한 광범위한 언론을 펴는 일이 주임무였다.
조선시대 임금도 여론에 귀를 기울이며, 인사를 단행했다는 말이다. 사간원이 직언을 할 경우 왕은 듣고 따라야(聽從) 했다. 이것이 바로 “거두어 주십시오”의 힘이다.
하물며 국민들의 선택에 의해 대통령에 당선된 자가 ‘권한’을 운운하면서, ‘민심’을 등지는 인사를 실시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여론이 반드시 옳다고 얘기할 수는 없는 것이다.
실제 사간원은 ‘동의보감’저자 허준을 탄핵하면서 ‘본래 음흉하고 외람스러운 사람’이라 평한 바 있고, 선조 말년의 기사(記事)에는 ‘위인이 어리석고 미련하였는데 은총을 믿고 교만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무반(武班)의 서출(庶出)인 허준이 양평군(陽平君)이라는 봉호를 받고 1품의 품계를 받은 것에 대한 기득권층의 반발과 편견이 어떠했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즉 허준이 이미 1품에 올랐으니 이것도 벌써 분수에 넘친 것이라 하면서 ‘이것이 어떠한 官銜(관함)인데 그에게 제수하여 조정에 수치를 끼치십니까’라고 강력하게 임금을 윽박지르는 것이다.
지금 노 대통령이 ‘인사권’을 운운한 것은 문재인 전 수석을 염두에 둔 발언인 것 같다.
실제 노 대통령은 문재인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부산정권’ 발언을 해명하는 가운데 “코드인사라고 하는데 솔직히 쓸 만한 사람은 써야 하는 것 아니냐”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한다. 즉 세상이 그를 비난하더라도 자신에게 주어진 ‘권한’을 사용하겠다는 뜻이다. 기득권 세력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임금이 허준을 높이 산 것처럼, 한나라당 등 정치권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문제인 카드를 사용하겠다는 강한 의지가 담겨 있는 것 같다.
이에 대해 “거두어 주십시오”하고 직언을 하려면, 문 전 수석에 대해 상당히 깊은 내막을 알고 있어야 하는데 현재 상황으로는 부산 발언의 부적절성 이상은 아는 바가 없다.
그렇다면 노 대통령의 인사권을 존중하되, 인사청문회에서 이를 철저하게 따져 보는 것은 어떨까? 시시비비를 분명히 가리되, 행여 허준을 탄핵했던 것과 같은 오류를 되풀이 하지 않으려면 그것이 최상책인 것 같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산시, 전국체육대회·장애인체육대회 폐막](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2/p1160278846346218_476_h2.jpg)
![[로컬거버넌스] 경기 부천시, 노인 스마트 복지인프라 확충 박차](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1/p1160278735531867_691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