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시장은 의혹을 해명하라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6-10-15 16:38:3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고하승 편집국장 {ILINK:1} 지난 13일 실시된 국회 행자위 국감에서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재임 당시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센터(DMC) 사업용지 5500평을 무자격 업체에 특혜 제공했다는 의혹이 다시 불거졌다.
앞서 최재성 열린우리당 의원은 최근 국회 대정부질문을 통해 DMC 특혜 분양 의혹에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연루됐다는 주장을 제기했었다.

최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02년 6월 서울시가 한독산학협동단지(한독단지)와 양해각서를 체결할 당시 서울시가 검토한 부지는 외국인학교 용도로 지정돼 오피스텔 등 수익성 있는 개발사업이 불가능했으나, 이 시장이 취임하자마자 난데없이 대상지역이 노른자위 땅인 교육연구용지 및 외국기업입주용지로 바뀌었다는 것.
특히 당시 한독단지는 2년 연속 자본잠식 상태로 해당 부지의 공급대상자로 거론될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한다.
최 의원은 또 서울시가 ㈜한독산학협동단지(KGIP)의 상암동 DMC 입주계획을 승인한 가장 큰 이유는 독일대학컨소시엄(KDU)이 2억유로(약 2000억원)를 투자해 외자를 유치하게 된다는 것이었지만 KGIP의 사업계획서 내용은 사실과 달랐다는 의혹도 제기했었다.

실제 주독한국교육원을 통해 컨소시엄 회원이라는 독일 8개 대학 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4개 대학의 회신을 받은 결과, 일부 대학은 2억유로 투자건을 모른다고했고 심지어 컨소시엄 회원이 아니라는 대학도 있었다는 것.
최 의원이 공개한 회신내용에 따르면 베를린 공대와 하겐 원격대 총장은 2억유로 투자에 대해 “아는 바 없다”고 답했고, 아헨 공대 총장은 “컨소시엄 설립시 참여하지 않았고 어느 대학이 컨소시엄 회원인지 모른다”고 밝혔으며, 베를린 자유대학총장은 “한국내 사정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2억유로 투자 사실이 없는데 KGIP의 허위 사업계획서를 근거로 서울시가 용지를 공급해준 것은 특혜 의혹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최 의원은 “서울시에 계약을 제안한 한독단지의 윤여덕 대표와 이명박 전 시장 쪽의 부적절한 관계가 드러나고 있다”며 “이 전시장과 서울시 관계자는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업체를 선정한 이유에 대해 확실하게 해명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서울시가 “한독은 객관적인 심사 과정을 거쳐 선정된 업체로 특혜공급이 아니다”며 “신청자격에 자본금 등에 대한 제한은 없었다”고 해명하고 있으나, 여전히 의혹이 해소되지는 않고 있다.
물론 서울시는 현재 특혜분양 의혹을 제기한 열린우리당 최재성 의원과 정치자금 조성의혹을 제기한 이규의 부대변인을 허위사실 유포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 상태다.

따라서 서울시가 DMC부지 공급과정에서 해당업체에 특혜를 줬는지 여부는 검찰수사를 통해 가려지게 됐다.
그동안은 이 문제가 수면 하에 가라앉을 것이고, 그러다보면 서울시민들의 뇌리에서 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설사 밝혀진다고 해도 2007년 대선 이후에나 가능한 일이 될지도 모른다.
그래서는 안 된다. 이 문제에 관한한 의혹 당사자는 서울시가 아니라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다. 따라서 이 전 시장이 직접 나서서 이 문제에 대해 의혹을 분명하게 밝힐 필요가 있다.
전날 이 전 시장과 관련된 갖가지 의혹에 대해 정두언 의원이 ‘~카더라는 데 아닐 것이다’는 식의 해명이 있었는데, 이런 방식으로는 곤란하다.
제 3자는 ‘아니다’ 혹은 ‘그렇다’고 분명하게 해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시민들은 그런 해명에 신뢰를 보내지 않기 때문이다.

이 전 시장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현재 당내 대권주자들로 거론되는 박 전 대표와 손 전 지사를 압도적으로 따돌리며 선두를 달리고 있다. 물론 고건 전 총리와 여권 예상 주자들보다도 훨씬 앞서고 있다. 따라서 대권에 어느 누구보다도 한 발 앞서 나가고 있음을 부인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의혹을 짊어지고, 대선까지 ‘쉬쉬’하며 가는 것은 유권자들에 대한 예의가 아닐 것이다.
한 나라의 대통령이 되려면 적어도 자신에게 드리워진 의혹만큼은 직접 나서서 속 시원하게 해명해 줘야 하는 것 아니겠는가.
이 문제에 관한한 유권자들은 1년 혹은 2년 후에나 나오게 될지도 모르는 검찰 수사결과발표를 기다리기보다는 조속한 시일 내에 이 전 시장의 해명이 있기를 기대하고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