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지난 10월에는 안상수 인천시장이 두바이와 인천 양 도시간 경제특구 개발지원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고, 부산과 제주 등 여러 자치단체장들도 두바이를 방문했거나 할 예정이다.
두바이는 과거 다른 중동국가에 비해 원유 매장량이 적고, 낮 기온이 50℃를 넘어 모래만 날리는 사막의 작은 도시였다.
두바이는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찾기 힘든 자유무역지대를 이미 1985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해 1995년 80억달러에 불과하던 GDP가 10년만인 2005년 200억달러에 이르러 약 2.5배 증가했다. 대부분의 수익은 관광과 항만운영에서 나오고 있다. 10년전부터 상상력·창의력으로 시작한 개방, 개혁 덕분이다.
두바이가 세계적 경제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UAE의 왕세자출신의 수상인 ‘셰이크 모하메드’의 탁월한 상상력과 창조 경영 때문이었다. 아울러 개방 정신과 적극적 자세,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장기적인 경제 개발 계획과 미래를 위한 과감한 투자 덕이었다.
그리고 세계 유일의 7성(星) 호텔인 ‘버즈 알 아랍’을 세워 세계의 부호를 끌어들이고 ‘팜 아일랜드’라는 대형 인공 섬 프로젝트를 통해 인간 상상력의 한계에 도전하는 등 탁월한 상상력과 지리적 여건을 충분히 이용해 세계적인 기업의 아시아ㆍ중동 물류 기지의 중심으로 발돋움하는데 성공했다.
인천은 두바이와 여러 가지 면에서 비슷한 점이 많다. 중동과 아시아를 잇는 관문으로서의 지리적 이점을 두 도시는 가지고 있다. 경제자유구역의 개념을 도입해 각종 경제 규제를 완화하고 지역의 허브를 지향하는 것과 국제항만, 국제공항을 보유하고 있는 점도 비슷하다.
그러나 실적면에서 두바이는 엄청난 규모의 외자를 척척 유치해 도시 전체가 개발로 한창인 반면 인천의 실적은 아직 미약하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170억달러 이상의 투자유치를 해냈다고 주장하지만 대부분이 양해각서 수준으로 이 돈이 실제로 투자될 지는 미지수다. 따라서 인천은 두바이처럼 각종 면세혜택과 기업경제 활동의 자유를 보장하고 두바이의 사례에서 보듯이 국제적 감각을 가진 글로벌 인재들이 인천의 동북아 허브 실현을 위한 전략과 정책을 생산해내고 창조적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려면 우리 모두는 능력있는 글로벌 인재들이 인천을 글로벌 고향삼아 몰려들 수 있도록 넓은 품을 보여주어야 한다. ‘변화없는 두바이는 없다’는 표어처럼 현재와 같은 생각과 시스템으로는 인천의 미래가 불투명하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