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이미 FTA를 체결한 칠레, 싱가포르, 유럽자유무역연합(EFTA)과 달리 세계 최고의 경제강국인 미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우리의 산업과 국민생활에 미칠 영향력이 매우 클 것입니다. 한-미FTA는 우리 경제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심지어 문화와 삶의 방식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와 같은 중차대한 사안을 정부 협상단의 몫으로만 돌릴 수 없습니다. 각계 각층의 의견을 잘 수렴해서 국민적 공감대를 이뤄야 합니다.
“과연 우리에게 실익이 있는가?”, “철저한 준비과정 없이 너무 성급하게 추진하고 있지는 않은가?”, “국민의 의견을 충분하게 수렴하고 있는가?” 등 시민사회의 우려에 대해 정부가 얼마나 진지하게 응답해 왔는지 의문이 있습니다. 정부는 협상시한에 쫓겨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지 않은가 자문해 봐야 합니다. 한-미FTA는 국가의 명운이 걸린 중요한 협상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지난 9월29일 우리당 내 한-미FTA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목소리들을 한 자리에 모아 토론하는 장을 마련한 바 있습니다. 그동안 다양하게 의견을 수렴한 결과를 바탕으로 협상의 원칙과 과제에 대해 저의 의견을 밝히고자 합니다.
“국익과 민생 우선”의 협상전략을 갖고 아래에 제시하는 마지노선을 고수하고, 협상 횟수와 기간에는 구애받지 말아야 합니다. 이를 관철할 수 없다면 차기 정부의 과제로 넘길 수도 있다는 각오로 협상에 임해야 합니다.
광우병 안전이 확인되지 않은 쇠고기 수입, 국내 약가결정 시 다국적 제약회사의 참여, 쌀과 여타 민감품목을 농산물 양허대상에 포함시키는 것 등 국민의 생존과 건강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사항들을 수용해서는 안 됩니다.
“투자자-국가소송제”는 수용할 수 없음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간접 수용”도 국내법적으로 논란이 되는 개념인 만큼 매우 신중하게 검토해야 합니다.
미국의 반덤핑 및 상계관세 제도를 WTO 수준으로 개선할 것을 분명하게 요구해야 합니다.
의료, 교육, 전기, 가스, 에너지, 방송, 통신 등 국민의 기초적 삶의 질과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공공부문의 투자에 대한 “내국민 대우” 적용은 제한해야 합니다.
우리 협상단은 이번 5차 협상에서 전략과 의지를 새롭게 다져서 앞에서 제시해드린 내용을 반드시 관철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