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후 박 전 대표를 지지하는 국민들 사이에서는 ‘복당’을 요구하는 목소리보다, 오히려 ‘신당’을 주장하는 목소리에 더욱 힘이 실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물론 ‘복당’과 ‘신당’은 나름대로 장단점이 있다.
우선 복당을 할 경우, 거대한 한나라당 울타리 내에서 안정적인 차기 대권주자의 길을 걸어 갈 수 있다. 그러나 국정동반자로서 MB의 국정실책에 따른 책임을 일정정도 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신당 창당을 결행할 경우, 시베리아처럼 황량한 정치역정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다. 대신 끝없이 추락하는 MB와 정치 운명을 같이 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利點)이 있다.
두 가지 가운데 어떤 길을 선택할지, 5월 말이면 결정이 될 것 같다.
박근혜 전 대표가 지난 11일 친박계 복당 문제와 관련해 ""5월말까지 당 지도부가 가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시한을 못 박았기 때문이다.
그는 이날 오후 열흘 일정으로 호주.뉴질랜드로 떠나기에 앞서 인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 지도부 체제에서 벌어진 일이기 때문에 현 지도부가 매듭을 지어야 국민들도 바로잡혔다고 이해할 것이다. 이런 문제를 다음 지도부에 넘긴다는 것은 책임회피""라며 ""이명박 대통령에게도 '5월말까지 결정나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당의 공식 결정이 나기 전에는 뭐라 말을 할 수 없다. 당이 결정을 해야 나도 결정을 할 것 아니냐""라고 덧붙였다.
즉 5월말까지 ‘복당’ 문제를 현 지도부가 결정해야 하며, 그 결정 여하에 따라 자신의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이라는 뜻이다.
박 전대표가 내릴 결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를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탈당’과 ‘신당’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국민들은 왜 ‘복당’보다 ‘신당’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가.
단순히 박 전대표가 MB와 한솥밥을 먹는 게 싫기 때문일까?
역대 대통령의 지지율 가운데 이른바 ‘허니문’기간에 실시한 여론조사 중 최악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 MB의 곁에 있다가 뜻하지 않은 봉변을 당하지나 않을까 걱정되기 때문일까?
물론 그런 측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 더욱 중요한 이유가 있다.
박 전대표로 하여금 MB의 무한독주에 제동을 걸어달라는 간절한 요구가 담겨 있는 것이다.
우선 당장 쇠고기수입 재협상 요구를 관철시켜 달라는 국민의 염원이 담겨 있다.
사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에서 정부가 미국의 동물성 사료 금지조치가 '강화'가 아닌 '완화'된 사실을 모르고 사실상 속은 채 협상을 한 것으로 드러나는 등 문제가 많다.
비엔나 협약에 따르면 착오와 기망행위가 있는 경우 조약을 취소할 수 있다. 즉 정부가 '속아서' 맺은 미국산 쇠고기 협상은 무효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런데도 이명박 정부는 쇠고기재협상을 요구할 의사가 없다는 기존의 입장을 되풀이할 뿐이다.
통합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민주노동당 등이 “미국산 쇠고기 재협상 없이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동의안 처리에 응할 수 없다”고 밝혔지만, 이들 야 3당의 힘만으로는 재협상을 이끌어내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박 전 대표가 나서줘야 하는 것이다.
특히 ‘신당’ 창당을 지지하는 데는 국민 몰래 은밀하게 추진되고 있는 대운하를 반드시 막아 달라는 국민의 뜻이 들어있다.
실제 대운하와 관련,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고 주장하던 정부가 뒤로는 구체적인 추진 일정과 전략까지 세워둔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대재앙이 예상되는 한반도운하 건설에 제동을 걸 수 있는 정치적 역량을 갖춘 지도자가 누구인가. 국민들은 박근혜 전 대표를 지목하고 있다.
특히 의료보험의 민영화는 매우 위험한 서민말살 정책으로 이는 반드시 저지해야 한다.
그래서 국민들은 박 전대표의 ‘신당’창당을 갈망하고 있는 것이다.
만일 박 전대표가 ‘근혜신당’의 깃발을 치켜들면, 한나라당의 운명은 어찌될까?
‘노무현 당’이라는 꼬리가 붙어 흔적도 없이 사라진 ‘열린우리당’처럼, ‘MB당’이라는 딱지가 붙은 한나라당 역시 산산조각 나고 말 것이다.
한나라당이 그나마 존재하려면, 친박복당을 무조건 받아들이는 길 뿐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것은 국민에게 그리 좋은 길은 아닌 것 같다.
당 내에서 쇠고기 재협상 요구를 관철시키고, 대운하건설과 의료보험 민영화에 제동을 걸기가 생각처럼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산시, 전국체육대회·장애인체육대회 폐막](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2/p1160278846346218_476_h2.jpg)
![[로컬거버넌스] 경기 부천시, 노인 스마트 복지인프라 확충 박차](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1/p1160278735531867_691_h2.jpg)
![[로컬거버넌스]물길 따라 단풍·억새·가을꽃 풍경 만끽··· 도심서 즐기는 감성 힐링 나들이](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9/p1160271721170098_501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