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부자’,‘고소영’도 모자라 ‘BBK' 인사냐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8-08-07 16:01:2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 하 승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은 아무리 곱게 보려고 해도 곱게 보이질 않는다.

거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문제가 인사문제일 것이다.

실제 이명박 정부는 초기내각 구성 당시부터 ‘강부자’, ‘고소영’ 내각으로 인해 세간의 웃음거리가 됐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BBK' 인사로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국민을 조롱하겠다는 심사가 아니라면 어떻게 이렇듯 뻔뻔한 인사를 자행할 수 있는 것인지, 이 대통령에게 묻지 않을 수 없다.

실제 지난해 대선 당시 한나라당 이명박 대선 후보의 BBK 주가조작 사건 연루 의혹을 수사했던 검사가 최근 청와대에 입성한 사실이 7일 확인됐다.

당시 최재경 특수1부장이 이끌던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에서 김경준 전 BBK 대표의 주가조작 및 횡령 사건, 이명박 후보의 연루 의혹을 조사했던 장영섭 검사가 청와대 행정관에 임명된 것이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은 BBK 관련자를 재외공관장에 임명한 바 있다.

지난 4월 주로스앤젤레스 총영사로 발탁된 김재수씨다.

그는 이명박 캠프에서 BBK 사건 과 관련 해외 네거티브 대책단 팀장을 맡았었다.

이 대통령이 이런 사람들을 발탁한 것은 ‘신중하지 못한 인사’ 일뿐만 아니라, 참으로 ‘겁 없는 인사’가 아닐 수 없다.

청와대가 비록 ‘BBK 담당여부와는 상관없는 인사’라고 해명했지만 대선 당시 BBK 검찰수사가 야당으로부터 ‘면죄부 수사’라는 문제제기가 있었던 만큼 이번 인사는 신중했어야 옳았다.

더구나 당시 검찰이 MB에게 면죄부를 주었지만 국민들 상당수가 검찰수사결과를 믿지 않는다는 여론조사 결과까지 나왔었다.

실제 BBK 주가조작 사건의 핵심인물인 김경준씨가 대선을 한 달여 앞둔 11월16일 갑작스레 귀국해 BBK의 사실상 소유주가 이명박 대통령이라고 주장하면서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20%대로 급락하는 등 최대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지난 해 12월 5일 검찰은 수사결과 발표를 통해 ▲옵셔널벤처스 주가조작 의혹 ▲다스 차명소유 의혹 ▲BBK 실소유 의혹 등에 모두 무혐의 결론을 내렸다.

이로써 한때 20%대 후반대로 추락했던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40%대로 회복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검찰은 MB의 구세주’라고 할만하다.

하지만 'BBK사건에 이명박 후보가 무관하다'는 수사 결과를 내 놓은 검찰은, 발표 이후 상당기간 마음고생(?)을 겪게 된다.

검찰의 수사결과를 믿지 못하겠다는 여론조사 내용이 보도됐기 때문이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당시 여론조사에서 검찰의 수사 결과를 못 믿겠다는 응답이 50%가 넘었었다.

곳곳에서 '정치검찰'이라는 비판도 쏟아졌다.

그만큼 검찰수사 결과 발표는 미진한 면이 많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명박 대통령으로서는 당연히 무리하게(?) 자신에게 면죄부를 쥐어 준 검사나 관계자들에게 개인적으로 보은을 하고 싶었을 것이다.

어쩌면 그것이 인지상정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한 나라를 이끄는 최고지도인 대통령은 결코 해서는 안 되는 일이 하나 있다.

바로 자신을 위해 인사권을 남용하는 일이다.

물론 이명박 대통령으로서는 억울한 측면이 있을 수 있다.

정말 청와대의 주장처럼 BBK 당당여부와 관련 없는 인사일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오얏나무 아래서는 갓끈을 고쳐 매지 말라는 옛말이 있지 않는가.

더구나 이런 식의 인사가 이번이 처음이었다면 몰라도, 매번 인사 때마다 국민을 우롱해왔다는 점에서 진정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

MB 정부는 국민들을 향해 “믿어주지 않아 야속하다”고 말하기 이전에 자신을 되돌아보고 뼈아프게 반성을 해야 할 것이다.

어쩌면 국민들은 이번 ‘BBK' 인사를 보고, 그 때 당시 왜 검찰이 MB에게 면죄부를 주었는지, 그리고 왜 검찰의 발표가 그토록 미덥지 못했었는지에 대해 새로운 의구심을 갖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이래저래 MB 정부의 신뢰도만 추락한 꼴이 되고 말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