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박근혜, 敵인가? 동지인가?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8-08-25 16:02:1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 하 승 이명박 대통령 측근들이 MBC 민영화 문제와 관련해 노골적으로 ‘정수장학회’ 문제를 거론하고 나섰다.

실제 '친 이명박 계'인 공성진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25일 MBC 민영화를 주장하면서 MBC 지분 30%를 보유중인 정수장학회의 지분도 손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MBC에는 현재 방송문화진흥회와 정수장학회라는 2명의 주주가 있으며, 진흥회는 70%, 장학회는 30%의 지분을 각각 소유하고 있다.

잘 알다시피 정수장학회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지난 1995년부터 2005년까지 이사장으로 있었다.

물론 현재 박근혜의원은 정수 장학회와 이미 선을 그은 상태다.

그러나 이름 자체가 박 의원과 떼어 놓을 수 없는 정수 장학회다.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의 이름 가운데 ‘정’자와 고(故) 육영수 여사의 이름 가운데 ‘수’자를 따서 ‘정수’장학회라는 이름을 지었기 때문이다.

공 의원은 바로 그 정수장학회가 소유하고 있는 30%의 지분에 대해 손질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주장이 나 온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대통령 선거 기간 중에도 있었다.

당시 MB의 홍보위원장을 맡았던 정병국 의원은 “미디어 산업을 건강하게 발전시키는 데 제도가 걸림돌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MB의 생각”이라며 “인수위의 관련 분과가 KBS·MBC 등 공영방송의 기능·위상·소유 구조 등을 전면 검토해 국가가 육성해야 할 공영방송과 민영화할 방송으로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하겠다”라고 말한 바 있다.

정 의원이 직접적으로 정수장학회를 거론하지는 않았으나, 소유구조를 언급한 것은 다분히 정수장학회를 겨냥한 것임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MB 대통령 만들기 일등공신 외곽세력인 뉴라이트는 한 술 더 뜬다.

지난 7월 29일 뉴라이트방송통신정책센터 주최로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MBC 위상 정립 방안’ 전문가 토론회에서 나온 얘기들을 보면, 마치 정수장학회를 타깃으로 하고 있는 게 아닌가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다.

실제 “MBC는 국민주 모집 방식에 의한 민영화를 해야 한다”거나 “공개입찰로 지분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지배주주를 선정해서 민영화해야 한다”는 발언들이 잇따랐다.

박근혜 전 대표를 설득하고 이해시키려하지 않고, 여론몰이 방식으로 박 전 대표를 압박하고 있는 것이다.

말이야 바른 말이지 MBC를 굳이 민영화하려는 이유를 모르겠다.

시청률로 방송사를 판단한다면 MBC는 다른 방송사에 비해 높다.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민영화의 이유라면, MBC는 경영 효율성이 높다.

그런데도 정부는 경영효율성을 운운하며 민영화를 강행하려 들고 있는 것이다.

도대체 그 이유가 무엇일까?

한나라당 내부의 정치적 역학관계와 무관하지 않다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어쩌면 MB가 최측근인 최시중씨를 방송통신위원장으로 내보낸 이유 가운데 하나가 MBC 민영화를 통해 박근혜 전 대표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것인지도 모른다.

즉 최씨가 MBC 민영화를 추진함으로써 박근혜 전 대표와 무관하지 않은 정수장학회의 힘을 빼려는 것 같다는 말이다.

박 전 대표가 비록 정수장학회 이사장직에서 물러나긴 했으나, 끈끈한 연결 고리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으로 존재하고 있다.

실제 정수장학회의 장학생 출신들이 만든 ‘상청회’는 전국적으로 수만 명의 회원을 두고 끈끈한 결속력을 과시하고 있다.

친박 김기춘·현경대 전 의원 등이 이 모임의 회장을 거쳤다.

이들은 모두 박 전 대표의 주요 외곽 인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정수장학회의 힘을 약화시키는 것은 곧 박 전 대표의 힘을 빼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것이다.

그 일을 김대중 정권과 노무현 정권이 아니라, 바로 MB 정권에서 그의 측근들이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MB와 박근혜 전 대표는 동지일까? 적(敵)일까?

정말 아리송하다.

그나저나 MBC를 민영화하면 누가 소유하게 될까?

혹시 경선 과정에서부터 노골적으로 MB 편에 섰던 조.중.동 등 재벌언론이나 재벌 기업의 지배에 놓일 가능성은 없을까?

그렇다면 언론의 중립성과 객관성이 붕괴될 수밖에 없을 텐데 참으로 걱정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