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지극히 상식적인 말이고, 대부분의 언론인들이 가슴깊이 새겨 넣고 있는 교훈이도 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권력이란 공권력과 자본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래서 일선 기자들은 경영진에게 공권력이나 자본의 눈치를 보지 않고, 소신껏 대의를 말할 수 있게 해달라고 강력히 요구하기도 한다.
그러나 정작 현실적인 면을 들여다보면, 이게 그리 쉽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우선 언론도 장사다.
그러다보니 기업체로부터 광고를 받아야 하고, 그 과정에서 자본이라는 권력 앞에 쉽게 무너진다.
잘 알다시피 지난해 삼성비자금문제로 온 나라가 시끄러울 때, 정치계는 물론 사법부ㆍ행정부ㆍ언론계ㆍ학계 등 사회곳곳에 로비자금을 뿌렸다는 의혹이 제기됐으나, 우리나라 3대 언론으로 통칭되는 조선ㆍ중앙ㆍ동아일보에서는 삼성 비자금과 관련된 보도를 찾아보기 어려웠었다.
앞서 ‘국민들의 알 권리’를 위해 신정아씨와 변양균씨의 사생활을 만천하에 공개한 언론이 바로 이들 언론사였다.
그런데 정작 ‘국민들이 알아야 할’ 삼성비자금 의혹에 대해 보도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틀림없이 삼성광고를 받아내기 위해서일 것이다. 이것이 금력 앞에 굴종하는 언론의 비참한 모습이다.
그런데 공권력 앞에 서면 언론의 모습은 더 비굴해 진다.
지난 18대 대통령 선거 당시 이들 조선ㆍ중앙ㆍ동아일보는 노골적으로 ‘이명박 대세론’에 순응하는 저자세를 취했다.
한나라당 경선 당시부터 ‘이명박 대통령 만들기’에 올인 하듯이 이들 언론이 특정 후보를 위해 편파보도를 일삼았다는 사실은 대부분의 네티즌들이 인정하는 바와 같다.
그러나 <시민일보>는 달랐다.
우리는 이명박 후보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가했다.
그가 치적으로 내세우는 청계천 문제를 비롯해 그가 공약으로 내세운 한반도 대운하 문제와 747 공약의 허무맹랑함 등등, 우리가 이명박 후보에 대해 비판의 날을 세운 것은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다.
어쩌면 당시 지방지 가운데서는 유일하게 <시민일보>만 이명박 후보에게 비판적이었는지도 모른다.
대부분의 언론이 ‘대세론’에 굴복하는 모습을 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누가 옳았는지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는가.
조선.중앙.동아는 틀렸고, 시민일보가 옳았다는 사실을 여론이 증명하고 있다.
아무튼 그 과정에서 우리는 경선 상대자인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눈여겨보게 되었고, 그가 우리나라의 미래를 믿고 맡겨도 될 만한 ‘훌륭한 대통령 감’이라는 사실을 발견, 그 사실을 국민들에게 알리는 데 주력해 온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필자가 최근 발간한 <왜, 박근혜인가>는 당시 이런 상황들을 기록한 역사적인 사실들이라고 보면 맞을 것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최성 정책위부의장이 10일 <고하승 국장님께 드리는 답변>이라는 글을 통해 “시민일보라는 언론의 기본적인 사명을 감안하고, 편집국장이라는 직위가 갖는 책임성과 중립성을 감안할 때 적어도 시민일보 편집국장의 이름으로 ‘박근혜 대망론’이든 ‘박근혜 특사론’이든 객관적이고 균형적인 서술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지적했다.
굳이 그의 지적이 아니더라도 필자는 이 문제에 대해 상당히 깊은 고민을 하고 있는 터였다.
한 네티즌이 밝혔듯이 기사와 칼럼은 다르다거나 기사는 단순한 사실 전달에 의미가 있고 칼럼은 주장을 전달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는 식으로 논쟁에서 빠져 나가고 싶지는 않다.
오히려 이 문제를 전체 언론을 향해 던지고 싶은 마음이다.
공권력과 자본 앞에 비굴하게 굴종하는 펜이 되는 것보다는 차라리 언론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아무개’를 지지한다고 당당하게 밝히는 게 어떨까?
괜히 중립인 척 하면서 대세론에 이끌려 민중을 혼란스럽게 하는 기사를 쓰는 것보다는 훨씬 양심적이지 않을까?
아무튼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이 나오기 전까지는 최성 부의장의 지적을 겸허한 마음으로 받아들일 생각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